정부 “北, 책임 회피 말고 대화제의에 호응하라”

입력 2015-11-19 13:41

정부는 19일 북측이 당국회담 개최 지연의 책임을 남측의 탓으로 돌린 데 대해 "북한이 진실로 남북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우리 측 대화제의에 호응해 나와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는 8·25 합의를 차분하게 이행하여 남북간 대화협력을 통한 신뢰형성, 반북관계 발전을 일궈나간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해 왔다"면서 "이런 차원에서 정부는 이미 북에 당국회담을 제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우리 대화제의에 호응하지 않으면서 남북 당국간 대화가 개최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날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 형식을 빌려 "8·25 합의 이전이나 이후나 남조선 당국의 태도에서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면서 "말이 아니라 실천으로 관계개선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정부는 8·25 합의 이후 남북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예비접촉을 3차례 제안했지만, 북측은 아직 수용 여부에 대한 답을 주지 않고 있다.

이 당국자는 '금강산 관광 재개 등 구체적인 의제를 내걸어 진실성을 보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이미 남북관계 현안과 쌍방이 제의하는 것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만큼 여기에는 어폐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당국회담 예비접촉을 북측에 재차 제안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아직은 없다. (북측의 반응을) 기다려 봐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이 당국자는 최근 북한이 무단입북한 우리 국민을 잇따라 송환한 것을 계기로 탈북여성 김련희(45)씨의 북한 송환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을 묻는 말에는 "(북송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일축했다.

김씨는 지난 2011년 6월 친척을 방문하기 위해 중국으로 여행을 갔다가 병을 얻었고, 치료를 받으려 탈북 브로커를 통해 한국에 밀입국했다가 브로커에게 여권을 빼앗기고 탈북자 서명을 하게 됐다고 주장해 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