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8일 광주에서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공동지도체제' 카드를 꺼내들고 당 내홍 진화를 위한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비주류의 사퇴 압박과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혁신안' 화답 요구에 동시에 시달려온 문 대표가 '문재인 단일지도체제'를 '문·안·박 공동지도체제'로 전환하는 일종의 '양보안'을 갈등 해소의 승부수로 던진 것이다.
문 대표는 지도체제를 둘러싼 주류, 비주류 간 논란에 대해선 확실한 가지치기를 시도하며 전선을 분명히 그었다.
우선 안 전 대표의 혁신안에 대해 "백 번 옳은 얘기"라고 화답하며 '문·안·박 체제' 성사의 키를 쥔 안 전 대표에 '러브콜'을 보냈다.
문 대표 측은 "문 대표는 안 전 대표가 주장한 혁신안을 사실상 받은 것이라고 봐도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문 대표는 통합전대, 공동선대위 등을 거론하며 자신의 거취문제를 제기한 비주류에 대해 "실제로는 자기의 공천권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몰아붙이며 '반혁신·과거세력'으로 규정했다.
특히 안 전 대표가 요구한 당 부정부패 타파, 낡은 진보 청산에 대해 공감을 표시한 뒤 "아주 광범위한 인적 혁신도 필요하다"며 내년 총선 때 대대적인 '물갈이 공천'이 이뤄질 것임을 압박하기도 했다.
가장 중요한 당사자인 안 전 대표는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해 "당을 걱정하는 분들의 의견을 더 들어보겠다"는 짤막한 입장을 밝혔다. 즉각적 반응 대신 일단 판단유보를 선택한 것이다.
안 전 대표가 그동안 '문·안·박 체제'에 부정적 견해를 피력해 왔다는 점에 비춰볼 때 이번엔 신중한 접근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일각에선 문 대표의 혁신안 화답이 어느 정도 진정성을 지녔다고 판단한 결과 아니냐는 관측도 뒤따랐다.
'공천요구 세력'으로 내몰린 비주류는 예상대로 강하게 반발했다.
한 비주류 인사는 "진정성이 없는 제안이다. 당원들은 문 대표의 정치적 책임과 결단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상한 프레임으로 안 전 대표에게 결단을 요구하는 이율배반적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비주류 한 중진 의원은 "그 누구도 공천권 확보를 요구하는 사람은 없다"고 불괘감을 숨기지 않았다.
호남권 의원들도 반발할 조짐이다. 이들은 세 사람이 모두 영남 출신임을 문제삼아 '문·안·박 체제'를 '영남연대'라고 규정하고 '호남 홀대'라는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이 오는 23~24일 호남권 의원을 전원 접촉해 의견을 모으기로 한 가운데 호남권 의원들이 문·안·박 체제 반대를 넘어 문 대표 사퇴론을 제기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서울 출신인 전병헌 최고위원도 "기본적으로 비주류를 지나치게 폄하한 것은 유감스럽고 당내 화합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더 크게 포용하고 더 큰 통합력을 보여야 '문·안·박'이 성사되지 않겠느냐"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현실적으로 '문·안·박 체제'가 가능한지에 대한 회의론도 나온다.
안 전 대표의 동참이 불투명한데다 광역단체장인 박원순 서울시장의 경우 현행법상 선거조직 참여가 불가능하거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위반'이라는 또다른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박 시장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나 역시 통합과 혁신에 대한 바람은 간절하지만 지금은 시장으로서 나설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PBS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이 꼼수정치로 본다"며 "문 대표가 왜 그렇게 문·안·박에 집착하는 지 이해가 안 된다"고 저의를 의심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문재인의 투트랙 전략-안철수·박원순 끌어안고 비주류 비타협 노선 제시
입력 2015-11-18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