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을 찾는 성조숙증 아이 10명 중 1명만이 ‘진짜 성조숙증’ 진단을 받아 치료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성조숙증 발생은 지난 7년간 15배 급증했다. 소아비만, 호르몬 불균형, 스트레스, TV·인터넷 등을 통한 성적 자극 노출 증가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김신혜 교수팀은 2004~2010년 성조숙증 진료를 받은 8세 미만 여아, 9세 미만 남아 2만1351명을 분석한 결과,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사춘기 지연 호르몬 치료를 받는 환자는 평균 10.3%(2196명)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성조숙증 발생률은 남아보다 여아에서 증가세가 뚜렷했다. 여아의 경우 10만명당 성조숙증 발생은 3.3명으로 2010년 50.4명으로 발생률이 15배 이상 늘었다. 남아인 경우 2004년 0.3명에서 2010년 1.2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2010년 성조숙증 유병률은 남아(10만명 당 1.7명) 보다 여아(10만명 당 55.9명)가 약 33배 높았다.
박미정 교수는 “성조숙증이 여아에서 유독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자의 뇌가 환경의 자극적 노출에 더 민감해 성호르몬 자극 호르몬을 더 잘 만들어내며 체지방이 많을수록 아로마타제라는 효소가 여성 호르몬을 더 잘 만든다”고 설명했다.
여아는 만 8세 이전 가슴 몽우리가 생기거나 만 10세 전 초경이 시작된 경우, 남아는 만 9세 전 고환이 메추리알 크기 이상 커지면 성조숙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박 교수는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전문의를 찾아 혈액검사, 성장판 검사, 성호르몬 분비자극 검사 등을 통해 확진후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춘기 지연 치료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춘기 지연 치료는 늦어도 만 9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하고 골 연령 12세 이전에 종료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TV, 인터넷서 성적 자극 노출 증가 탓?…여아 성조숙증 7년간 15배 급증
입력 2015-11-18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