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단체인 '이슬람국가'(IS)에 가담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김모군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17일 밝혔다.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의 긴급 현안간담회에서 김 군의 사망설에 대한 새누리당 김영우 의원의 질의에 "사망으로 추정하고, 짐작은 하고 있다"면서 "다만 터키 대사관 등을 통해 여러모로 김 군의 행방과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확실하게 결정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일부 언론이 지난 9월 말 김군이 미국 등의 공습으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도를 했지만, 우리 정부 당국자가 사망 가능성을 시사하는 언급을 한 것은 처음이다.
그러나 외교부는 이후 임 차관의 발언이 당시 보도를 인용한 것이라며 정정에 나섰다.
외교부의 다른 당국자는 "김군의 생사에 대해 확인된 바 없다"며 "언론보도가 있어 미국, 프랑스, 요르단 등 공습 참여 국가와 터키에 사실 관계 확인을 시도했으나, 확인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정보당국 관계자도 "(김군의 사망 여부는) 확인된 바 없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며 "지난달 국회 정보위에서 답변한 입장과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정보위에서 국정원은 "(김군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자세하게 알 수 없다"며 생사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편, 임 차관은 "이번 파리 테러는 종교에 입각해서 규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폭력적 극단주의로 인한 테러사태로서 언론에도 이렇게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 차관은 한국에서 테러 발생 우려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테러 위험이 있는 해외 공관을 묻는 질문에는 "20여개 정도"라고 답했다.
임 차관은 "국내에서 IS 활동 여부는 경찰, 외교부 등 유관 당국간에 정보 교환이 이뤄지고 이번 사태 발생 후에도 대책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면서 "앞으로 국제적 공조를 강화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회에 계류 중인 각종 테러 방지 법률안에 대해서는 "법률안은 외국과의 공조, 외국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우리 국민의 보호가 주요한 내용"이라면서 "이를 위해서 국내적으로도 테러 관련 법이 효율적으로 정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20여개 해외공관 테러 위험노출”...외교차관 “IS 가담 김군 사망 추정”
입력 2015-11-17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