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 강 건너 불구경할 상황 아니다” 외통위 “한국, 테러로부터 안전한가”

입력 2015-11-17 17:06

국회 외교통일위는 17일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동시다발 테러의 원인과 국내 유입 방지 대책을 세우기 위해 외교부로부터 긴급 현안보고를 받았다.

여야 의원들은 국내 치안과 국제 공조의 강화를 주문했으며, 인터넷에서 이뤄지는 테러 조직 가입과 테러 계획 등을 차단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도 치밀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김영우 의원은 "국내에서도 테러는 강 건너 불구경하듯이 할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곧 평창 동계올림픽도 개최해야 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 중인 만큼 테러 방지를 위한 국제 공조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박상은 의원은 "이슬람국가(IS)가 전 세계를 공포로 몰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한치의 소홀함이 없이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국내 치안은 물론 자유를 사랑하고,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외교관 출신의 심윤조 의원은 "IS에 가입한 것으로 알려진 김모군은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얻고 가입했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사이버 테러에도 강화된 조치를 취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 의원은 "프랑스 대사관에 대테러 매뉴얼이 작성돼 있고 실제 운영되고 있느냐"면서 "아울러 테러리스트와의 싸움은 이슬람과 서방 세력의 싸움으로만 봐서는 안되기 때문에 그런 점을 고려해 사태를 잘 규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성곤 의원은 "유럽에서는 서구의 대중동, 이슬람정책 무리수, 또는 실수가 IS와 같은 과격 집단을 만들게 된 원인이라는 견해도 있다"면서 "대중동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 내지는 새로운 방향이 전제되지 않는 한 극단주의자들과 서구세력간 피의 악순환은 제거되기 힘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임성남 차관은 "파리 테러는 종교에 입각해서 규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폭력적 극단주의로 인한 테러 사태로서 국제사회도 그런 시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답했다.

임 차관은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CVE)은 빈곤이나 실업, 사회적 소외 등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으로, 외교부로서는 CVE와 같은 국제적 움직임에도 적극 협력해서 근인과 원인이 동시에 대처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회의 시작에 앞서 참석자들은 모두 일어서 묵념으로써 테러 희생자에 대한 넋을 기렸다.

나경원 위원장은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할 수 없는 천인공노할 만행"이라면서 "프랑스 정부와 국민에 심심한 위로를 보내고 고인들의 명복과 부상자의 쾌유를 바란다"고 기원했다.

나 위원장은 외교부 보고를 받은 후 서울 서대문의 주한 프랑스 대사관을 방문, 희생자들을 조문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