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등 작물보호제를 판매하는 중소업체들이 최근 5년간 매출이 감소하는 이유로 농협의 시장 독과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협의회는 300개 판매업체를 대상으로 ‘농협의 경제사업 확대에 따른 작물보호제 조합원 경영애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5년간 매출감소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87.7%가 농협의 유통시장 독과점을 원인으로 지목했다고 17일 밝혔다.
작물보호제 판매상의 93.4%는 ‘농자재 판매시장에서 농협이 불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공정한 이유로는 ‘농협의 선심성 할인판매로 인한 시장가격 교란’(56.4%)이 가장 많았고, 농협의 농업생산 보조사업 독점’(44.6%), ‘농산물수매권을 이용한 농협농약 구매강요’(42.1%) 순이었다.
조사업체의 70.3%는 ‘농협의 지속적인 경제사업으로 인해 농약판매상의 영업기반이 무너질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87.7%는 농협이 ‘잡화에서 주유소까지 하는 유통대기업’이라고 답했다.
작물보호업체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농협의 경제사업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55.3%), ‘농협의 선심성 사업폐지’(36.7%), ’농자재이용권 발행 중단‘(26%) 등이 꼽혔다.
이에 농협은 "2000년대 초반까지 시중 농약상이 농업인에게 고가에 농약을 판매해 민원이 많았다"며 "이러한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농협은 농약 점유비를 확대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농협은 "현재 농약시장은 농협과 시중농약상이 각각 절반정도로 양분한 상태"라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농약판매상들, "농협의 시장 독과점으로 매출감소"
입력 2015-11-17 13:32 수정 2015-11-17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