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청와대에 빚진게 별로 없다” KBS사장 후보자, 청와대 인사개입 의혹 부인

입력 2015-11-16 18:43

고대영 한국방송공사(KBS) 사장 후보자에 대한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고 후보자의 보도본부장 시절 방송된 프로그램의 공정성 논란을 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지난해 방송법 개정에 따라 KBS 사장 후보를 상대로 한 청문회는 사상 처음으로 열렸다.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고 후보자가 보도본부장 시절 KBS 노동조합의 불신임투표에서 80%가 넘는 반대가 나온 점을 지적하며 공영방송의 수장으로서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 문병호 의원은 "후보자가 불공정의 표본이라는 지적과 함께 공정한 방송을 할 수 있는지 의문이 있다"고 비판했고 같은 당 최민희 의원도 "2012년 보도본부장 때 KBS 양대 노조 투표에서 84.4%가 불신임했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은 "그동안 불신임 투표로 신임받은 본부장이 한 명도 없는데 그래도 업무를 잘 수행했다면 (불신임 투표가) 리더십과 연계될지 의문"이라며 후보자를 옹호했다.

고 후보자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추도 분위기 축소 등 야당 의원들이 제기한 편파 보도 주장에 대해서는 "공영방송의 보도는 어떤 사안이든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차분히 해야 한다는 원칙이 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야당 의원들은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고 후보자의 임명 과정에서 이인호 KBS 이사장에게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이 이사장과 강동순 전 KBS 감사 등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고 후보자는 청와대의 인사개입 여부에 대해 "제가 (청와대에) 빚진 게 별로 없다"며 청와대에 로비하거나 접촉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여당 의원들은 주로 KBS의 경영실적 악화와 수신료 인상 문제에 집중했다.

새누리당 유일호 의원은 "국민이 보기에 '당신들은 굉장히 고액 연봉이고 인원도 굉장히 많다'"라고 지적했고 같은 당 조해진 의원은 "열심히 일하는 사람은 열심히 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얹혀가는 내부 분위기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고 후보자는 "항아리 정도가 아니라 고려청자가 된 인력구조"라면서 "조직이 침체된 가장 큰 원인은 꽤 오랜 시간 법과 원칙이 없어졌기 때문인데 법과 원칙을 세우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수신료와 관련해서는 "제가 보기에도 낭비적 요소가 있다. 그런걸 먼저 (개선)하고 나서 수신료 인상을 추진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정호준 의원은 고 후보자가 2000년 7~9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강서구 가양동·화곡동으로 전입했다 다시 압구정동으로 가는 등 2개월 동안 3번 주소를 옮겨 위장전입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고 후보자는 아들의 학교 적응 문제로 여러 번 옮겼다고 해명하고서 "그 과정에서 법을 지키지 못한 것은 인정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