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테러는 새로운 방식의 테러” 정부 “韓,안전지대 아니다”

입력 2015-11-16 18:21

정부는 프랑스 파리에서 이슬람국가(IS)에 의한 동시다발 테러로 대규모 희생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 중동 국가와의 협력 등을 통해 새로운 테러 양상에 맞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16일 조태열 외교부 2차관 주재로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관계부처가 참석한 제2차 '재외국민안전대책 및 종합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회의에 참석한 관계부처들은 우리나라도 더는 테러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데 공감하고, 새로운 테러 양상에 맞는 재외국민보호 대책을 수립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중동 주요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추가 테러 발생에 대비해 여행경보 조정·안전공지 강화 등에서 더욱 종합적인 재외국민 보호 대책을 만들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번 사건이 "상당 기간 계획·준비된 동시다발 테러로서, 유럽이 심각한 테러 위협에 직면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조 차관도 회의 모두발언에서 이번 사건이 "새로운 방식과 규모라는 측면에서 지금까지 유럽에서 일어난 여러 테러 사태와는 양상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정부는 이번 테러가 일어난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국·독일·터키 등 유럽 주요국에서도 재외국민 안전 보호 조치를 보강할 예정이다.

현지 공관을 통해 교민 비상연락망을 점검하고,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 가거나 밤에 돌아다니는 것을 자제하라는 등 안전수칙을 알릴 계획이다.

프랑스에서는 17일 한인회와 유학생 등을 대상으로 안전 간담회를 연다.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은 사상자들이 후송된 병원을 방문하고 한식당과 한국 식료품점 등을 전수조사해 현재까지 우리 국민 피해가 없음을 확인했다.

프랑스 정부에서도 한국인의 피해가 확인된 것은 없다고 우리 정부 측에 통보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조 차관은 회의에서 "우리 국민의 피해 여부를 계속 확인 중이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파악해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갖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당부했다.

회의에는 청와대, 국무조정실, 외교부, 국방부, 법무부, 국토교통부, 문화체육 관광부, 국민안전처, 경찰청 등 관계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4일 1차 대책회의 이후 이틀 만에 다시 열린 것이다. 정부는 이번 주 중 3차 점검회의를 열어 국제사회의 대응 동향과 부처별 조처 등을 다시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14일 1차 회의에서 파리를 비롯한 프랑스 전역에 여행경보 발령을 결정하는 한편, 국내 대테러 안전조치를 강화하고 현행 대테러 대책의 보완·개선 등의 조처를 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