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호조 업종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서 1000만달러 이상 수출품목 730개의 올해 1∼9월 수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175개 품목이 5% 이상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는 이같은 ‘역주행’ 품목을 유형별로 묶어보니 K-뷰티(beauty), K-푸드(food), K-전자 등 3가지로 요약된다고 설명했다. K-뷰티제품군은 눈화장품(36.9%), 립스틱(30.9%), 비누(61.2%), 샴푸(74.1%), 언더셔츠(7.2%), 스웨터(6.5%) 등으로 평균 53% 증가했다. K-푸드제품군은 평균 24.2% 늘어났는데 우유(13.3%), 분유(38.0%), 맥주(14.9%), 쇠고기(36.4%), 김(15.7%), 빙과류(8.2%), 담배(35.2%) 등이 대표적이다. 무선통신기기부품(28.8%), 반도체장비(17.5%), 소프트웨어(10.5%), TV카메라(64.5%), 전기밥솥(9.7%) 등 K-전자군은 평균 24.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3가지 제품군은 산업특성에 맞는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한 제품들”이라고 밝혔다.
K-뷰티의 성공비결은 ‘창조적 차별화’로 꼽혔다. 보고서는 “쿠션, BB크림, 마스크팩, 한방샴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창조적으로 만들어내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했다”고 설명했다. K-푸드의 경우 ‘철저한 현지화를 통한 신뢰구축’ 전략으로 수출시장을 공략했다. K-전자는 ‘다각화보다는 전문화’를 통해 무선통신기기부품, 반도체장비, 전기밥솥 등이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수출절벽이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는 업체들도 많다”면서 “이들 기업에 대한 성공포인트를 면밀히 분석하면 새로운 수출동력을 찾는데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수출 부진 속 버팀목 삼총사는 ‘뷰티·푸드·전자’
입력 2015-11-16 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