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석유화학·건설·해운 등 '취약 기간산업' 구조조정 방향 마련

입력 2015-11-15 19:53
과잉생산과 과당경쟁 등 구조적 취약성에 직면한 기간산업(철강·석유화학·건설·해운 등) 구조조정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가 모여 앉았다.

정부는 15일 오후 3시 제2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를 개최하고 기간산업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 차관과 금융감독원 부원장, 산업은행 부행장 등이 참여했다.

협의체는 산업별 국내외 시장 여건과 업황 전망, 산업 내 부문별·품목별 경쟁력 현황을 점검·평가하고 구조조정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지원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현재 채권단이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조선업 관련 내용은 제외됐다.

철강업은 합금철 등 공급과잉 분야의 설비를 줄여나가는 등 업계 자율적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지원한다. 석유화학업종에 대해선 고순도 테레프탈산(TPA)처럼 취약제품군에 대해 업계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도울 방침이다. 저유가로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유가 상승 시 경쟁력 악화 우려가 있는 만큼 지속적으로 산업 동향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건설업의 경우 주택경기 회복으로 경영여건이 나아지고 있으나 부실예방을 위해 입찰제도 개선, 건설사 재무 건전성 강화 등 선제적 시장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해외수주 환경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투자개발형 사업 활성화를 위한 펀드 조성, 해외 저가수주 방지를 위한 정보센터 설립 등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해운업 역시 자율적으로 시장원리에 따라 구조조정을 추진하되 글로벌 시장 재편이 급속히 진행돼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원양선사의 경우 근본적인 경쟁력 제고방안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협의체 논의 사항은 구조조정 방향이 될 뿐 아니라 채권은행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 평가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지난 7월 금감원이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후 35개 기업을 선정해 발표했으나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다음달 대기업 추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선정할 예정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