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개 단체 이번주 무더기 방북...민간교류 본격화 촉매 가능성

입력 2015-11-15 08:30

국내 59개 민간단체로 구성된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가 이번 주 평양을 방문해 북한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와 대북 인도적 지원의 본격적인 재개 방안을 논의한다.

15일 북민협과 통일부에 따르면 북민협 소속 20여개 대북 지원단체의 관계자 31명이 18~21일 북한 민화협의 초청을 받아 평양을 방문할 계획이다. 방문단에는 월드비전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어린이어깨동무 등 주요 대북 지원단체가 대부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1999년 대북 지원단체 간 협력과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북민협이 설립된 이후 이번처럼 소속 단체가 무더기로 방북하는 것은 처음으로 전해졌다.

북민협 관계자는 "지난 시기 사업 자체가 멈춰 있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업에 대해 심도 있게 이야기하기보다는 종합적인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신규 사업 아이템을 가져가는 단체는 (사업 이야기가) 길어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북민협의 방북 신청을 승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승인 여부는 통상 방문 1∼2일 전에 결정된다.

북민협의 이번 방문은 '8·25 합의' 이후 남북 민간교류와 인도적 대북 지원이 점차 활기를 띠는 상황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올해 들어 9월까지 개성공단 출입경 인원을 제외한 남측 방북 인원은 418명으로 월평균 46명에 그쳤지만, 지난달에는 880여명(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외)으로 약 20배 급증할 정도로 남북 공동사업이 활발해졌다.

지난달 15일부터 한 달간 개성에서 남북 공동행사로 진행된 '만월대 출토 유물 전시회'에는 남측 관람객 500여명이 방문해 남북 '문화통로' 개척의 성공적인 사례라는 평가까지 받았다.

북한은 그동안 국제기구의 인도적 지원은 받으면서도 남측 민간단체의 지원은 꺼리는 경향이 있었지만, 지난 9월부터는 남측 민간단체가 단독으로 진행하는 대북 인도적 지원도 받기 시작해 10월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 지원액은 11억원으로 늘었다.

이번 북민협의 방북을 계기로 인도적 대북 지원과 개발 협력의 밑그림이 그려지면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 지원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도 모처럼 조성된 남북화해의 분위기를 계속 끌고 가려면 8·25 합의 이후 꿈틀거리는 민간 교류·협력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8·25 합의에 따라 우리 정부가 세 차례에 제안한 남북 당국회담 예비접촉에 아직 북측이 호응하지 않고 있지만, 민간 차원의 교류와 협력이 활성화하다 보면 당국회담 개최 분위기도 형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