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외 일꾼들에게 근무지 이탈과 제3국인과의 접촉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북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북한 당국이 외국에 파견한 무역일꾼이나 주재원들에게 정해진 근무 장소와 거주지를 벗어나지 말고 또한 현지인 외에 다른 외국인들은 직접 접촉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북한 내부의 한 소식통은 "내각 등 중앙기관과 군대가 (외화 획득 등) 국가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중국과 동남아에 주재원들을 파견했는데, 이들에게 특히 남한 사람과 미국 등 서방인들을 절대로 만나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런 지침은 북한당국이 해외 공관을 통해 하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최근 외화벌이를 위해 해외에 파견된 인력들의 이탈이 잇따르는데다 리비아에서 북한인 의사 부부가 납치되는 사태까지 벌어지자 근무기강 단속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이런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한 대북 소식통은 지난 7월 "최근 외국에서 근무하는 북한 중간 간부의 동요가 심해졌고 탈북 혹은 망명도 늘었다"며 "특히 외화벌이 일꾼은 매달 일정액을 상납해야 하는데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처벌을 하니까 그런 것에서 압박을 받는 것 같다"며 해외 주재 북한인 사회의 분위기를 전한 바 있다.
지난 5월에는 리비아 해안도시 시르테 동부 알누플레야 지역에서 차를 타고 이동하던 북한인 의사와 그의 아내가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추정 세력이 납치했다고 리비아의 한 영문 인터넷 매체 '리비아 옵서버'에 보도되기도 했다. 북한인 의사 부부에 대한 후속보도는 아직 없는 상태다.
한편 북한의 해외 파견 노동자 실태와 관련해 마주르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지난달 유엔에 제출한 북한 인권보고서를 통해 "외화벌이를 위해 외국에 동원된 북한 노동자가 현재 5만 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나라는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알제리와 앙골라, 캄보디아, 적도기니, 에티오피아, 쿠웨이트, 리비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나이지리아, 오만, 폴란드,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이라고 언급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도 테러 대비?” 해외일꾼에 제3국인접촉 금지령
입력 2015-11-15 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