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봉쇄했다'던 미국 당혹…지상군투입 압박 커질듯

입력 2015-11-15 04:41
프랑스 파리 시내에서 13일(현지시간) 발생한 사상 최악의 동시 다발 테러로 최소 127명이 사망하면서 전 세계가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1년 넘게 '이슬람국가'(IS) 격퇴전을 주도해 온 미국 정부가 더욱 난감한 입장에 놓였다.

민간인 등 접근이 쉬운 이른바 '소프트 타깃'(soft target)을 겨냥한 끔찍한 테러 그 자체의 충격도 충격이지만 IS가 사건 직후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고 나선 데다 프랑스 정부 역시 IS를 배후로 공식 지목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사건 발생 불과 12시간 전 미 ABC 방송 인터뷰에서 IS 지도부를 무력화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IS 봉쇄 전략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자평한 터라 오바마 대통령의 '안이한' 상황 인식과 '미온적' 대처 논란이 다시 한번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IS 소행으로 추정되는 최근의 러시아 여객기 추락 사고와 이번 파리 테러를 계기로 지상군 투입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해 온 오바마 대통령의 입지가 한층 위축되고 지상군 투입을 압박해 온 공화당의 강경 목소리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 향후 미국의 IS 격퇴 전략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사건 발생 직후 국가안보·대테러담당 보좌관으로부터 관련 브리핑을 받고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무고한 시민을 테러의 희생양으로 삼는 무도한 시도를 목도했다”면서 “이번 사건은 프랑스인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와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격”이라고 비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아직 누구의 소행인지 말하기엔 이르지만, 미국은 테러리스트를 법의 심판대에 세우는데 프랑스와 함께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위로를 전하면서 “이번 사건은 무고한 시민을 위협하는 무도한 시도로,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며 테러 응징 방침을 거듭 밝혔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도 별도 성명을 내고 파리 테러를 강력히 규탄했다.

미 국무부는 이와 별개로 프랑스 정부와 접촉해 필요한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동시에 파리의 미국 대사관을 통해 자국민들의 안전을 긴급 점검하고, 현지 미국인들에게 관련 상황을 수시로 대사관 측에 알려달라고 당부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