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장동 워커힐 면세점이 23년만에 문을 닫게 됐다.
SK네트워크는 기존 워커힐 면세점 특허 재승인과 함께 신규 동대문 면세점 특허를 노렸으나 모두 불발에 그쳤다. 관세청이 2013년 법을 개정해 5년마다 경쟁입찰 시행을 결정한 이후 기존 면세점 사업자가 사업권을 잃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워커힐 면세점은 SK그룹(당시 선경그룹)이 1973년 워커힐 호텔을 인수한 뒤 1992년 호텔 안에 면세점을 두면서 시작됐다. SK 워커힐 면세점은 쇼핑과 카지노, 숙박을 한 곳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도심형 복합 리조트 면세점이다. 특히 시계·보석과 국산품 차별화 전략을 통해 중국인 관광객(유커·遊客) 특화 면세점으로 성장했다.
SK네트웍스는 1000억원 규모의 리뉴얼 공사를 통해 워커힐 면세점 매장 면적을 1만2천384㎡(3천746평)로 확대해 올해 연말 열 예정이었으나 헛수고가 돼 버렸다.
SK네트웍스는 워커힐 면세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신규 동대문 면세점 특허를 따낸다면 2020년까지 워커힐과 동대문을 연결하는 동부권 관광벨트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또한, 면세점 영업이익 10% 사회 환원 등 동대문 지역과 동반 성장하기 위한 '11대 상생 약속'을 제시하고, 총 투자비 8천200억원 중 2천400억원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면세점 유지·유치 실패로 모두 물거품이 돼버렸다.
워커힐 면세점은 23년 역사를 자랑하지만 상대적으로 저조한 매출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위치가 면세점 사업권을 지키는 데 약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워커힐 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은 2천747억원으로 중소중견 면세점인 동화면세점(2천919억원)에도 못미쳤다. 면세점 운영 경력이 비슷한 롯데 잠실점(25년)과 비교했을 때에도 워커힐 면세점의 1㎡당 매출은 3400만원으로 롯데 잠실점(4400만원)보다 1000만원 적었다.
SK네트웍스는 지난해 워커힐 면세점 매출이 2010년(1천249억원)의 두 배로 뛴 점, 2013∼2014년 워커힐의 매출 성장률(46%)이 다른 시내 면세점 성장률(23%)의 두 배에 이른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심사위원들은 다른 도전 업체의 성장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SK 워커힐 면세점 23년 만에 문 닫는다
입력 2015-11-14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