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테러 가능성 고려” 정부, 프랑스에 여행경보 발령 검토

입력 2015-11-14 19:10

정부는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동시다발 테러로 최소 120명이 사망함에 따라 프랑스에 여행경보 발령을 검토하고 현행 대(對)테러 정책에 대한 개선도 모색하기로 했다.

정부는 14일 조태열 외교부 2차관 주재로 외교부와 청와대, 총리실, 국민안전처, 경찰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재외국민 안전대책 및 종합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재외국민 보호와 관련, 정부는 추가 테러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해 프랑스에 여행경보를 발령할 필요성을 신중히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우리 정부는 여행유의→여행자제→철수권고→여행금지 등 4단계의 여행경보 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나, 프랑스에는 어떤 여행경보도 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다.

이번 사건 이후 외교부 본부에는 조태열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가 설치됐고, 본부와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이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국민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나, 계속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프랑스 현지에는 우리 국민 1만4천여명이 체류하고 있으며, 특히 테러 발생 지역인 파리에는 8천∼9천명의 교민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부처들은 이번 사건으로 국내에서도 테러에 경각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 정부의 대테러 대책을 보완하자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대테러 정보 수집 활동을 강화하고, 테러 용의자들의 동향 파악 및 입국 규제를 더욱 철저히 하기로 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전했다.

정부 당국자는 "오늘 회의에서는 이번 테러 사건의 성격과 양상이 종전의 테러 사건과는 상이하다는데 주목했다"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함의를 분석해 기존 대테러 대책을 보완 개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