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대망론’ 반기문 조우 관심...내일부터 다자외교 위해 출국

입력 2015-11-13 17:34

박근혜 대통령이 14일부터 23일까지 터키 안탈리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필리핀 마닐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및 아세안(ASEAN)+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다자 정상외교 강행군에 나선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경제 외교의 지평을 넓히는 동시에 북핵문제를 비롯한 대북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회의 참석 계기에 진행되는 양자 회담과 함께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및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과의 조우 여부도 관심을 끌고 있다.

◇경제 외교 지평 확대…북핵 공조·대북정책 지지 확보 = 박 대통령의 이번 순방의 초점은 우선적으로 경제 외교에 맞춰져 있다.

'포용적이고 견고한 성장'과 '포용적 경제 및 변화하는 세계 만들기'가 각각 회의 주제인 G20 및 APEC 정상회의는 경제 협력 문제를 주로 논의하는 자리라는 점에서다.

박 대통령은 G20 회의에서는 핵심 성장 전략인 공공·노동·교육·금융 등 4대 부문 구조개혁과 창조경제의 성과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참가국과 공유할 예정이다. 또 세계경제 및 거시정책 공조, 투자, 국제금융, 고용 등 국제 경제 현안과 관련한 우리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APEC에서는 중소기업 지원, 인적자원 개발, 농촌 공동체 강화 등 개발 경험을 토대로 아태 지역의 경제 통합과 포용적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13일 "포용적 성장에 대해서 우리가 하고 있는 여러 정책 사례를 얘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 구상에 대한 관련국간 협의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21~22일 진행되는 EAS와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는 연내 국가 정상을 대상으로 북핵 문제 및 북한의 도발 억지를 위한 공조 강화 노력을 하는 동시에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통일외교 등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G20서 반 총장과 조우 가능성…아세안 회의서는 아베 총리와 옆자리 = 박 대통령은 이번 다자 정상회의 기간 회의에 참석하는 다른 나라 정상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관심을 끄는 것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조우다. 국제기구 대표로 2009년 제2차 G20 회의 때부터 참여해온 반 총장은 이번 터키 회의에도 참석한다.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은 지난 9월 유엔 총회를 계기로 7차례 만났고, 이번에도 자연스럽게 조우할 기회는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친박(친박근혜)계 홍문종 의원이 차기 대선에서 '반기문 대통령-친박계 총리'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이원집정부제 개헌론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변수가 추가됐다.

청와대는 홍 의원의 이원집정부제 개헌론에 대해 "개인 의견에 불과한 엉뚱한 얘기"라고 불편한 심경을 밝혔고, 더구나 박 대통령의 정상외교 행보를 국내 정치 상황과 연관시켜 해석하는 것은 논평할 가치조차 없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과 반 총장이 다자회의 석상에서 마주치더라도 정치적 해석의 여지를 전혀 두지 않는 조우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일 첫 정상회담을 가진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와의 만남도 관심 포인트다.

이미 일본 정부가 다자 정상회담 계기에 별도 회담은 예정돼 있지 않다고 밝힌 상태지만,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다자 정상회의 참석 동선이 겹치는데다 아세안+3 정상회의 때는 옆자리에 나란히 앉는다는 점에서 두 정상이 다자 회의 계기에 자연스럽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현안에 대한 추가 의견 교환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특히 박 대통령은 출국에 앞서 연합뉴스를 비롯, 아시아태평양 뉴스통신사기구(OANA) 소속 회원사 등 8개 뉴스통신사 공동 인터뷰를 갖고 "아베 총리가 과거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치유할 수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한 만큼 아베 총리의 대응이 주목된다.

이번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는 박 대통령이 아세안+3 조정국 자격으로 가운데 자리하며 아베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박 대통령 좌우에 위치하게 된다.

◇남중국해 문제에는 원칙적 입장 재확인할 듯 = 이번 순방의 마지막 일정인 EAS는 정상들이 국제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로 남중국해 문제도 주요 관심 의제 중 하나다.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문제를 놓고 미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EAS에는 미중 양국은 물론 러시아, 일본, 아세안 등 남중국해 문제의 당사국·관련국 정상들이 다 참여하기 때문에 격론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맥락에서 박 대통령도 회의에서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언급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지난달 16일 한미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박 대통령에게 유일하게 요청한 것은 우리는 중국이 국제규범과 법을 준수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일각에서 미국이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보다 분명한 입장 표명을 요구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는 점에서 관심 포인트는 발언 수위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이 '국제규범 따른 평화적 해결'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 전망이다.

청와대는 우리가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진전된 입장을 내야한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 것과 관련해 지난달 25일 "이 문제는 우리가 국익 차원에서 확고한 입장을 갖고 계속 표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진전된 입장을 내야 한다는 것(지적)은 적절치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 박 대통령은 지난 2일 한일 정상회담 때 "남중국해에서의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 분쟁은 관련 합의와 국제적으로 확립된 규범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남중국해 문제는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최국 필리핀의 입장에도 불구, EAS에 앞서 진행되는 APEC에서도 남중국해 문제가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