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3일 여야 선거구획정 협상 결렬에 따라 현행 선거구 체제 유지를 기준으로 당내 경선 준비에 착수하겠다며 '마이웨이' 행보를 선언하고 대야(對野) 압박에 들어갔다.
지역구 246개와 비례대표 의석수 54개인 현행 선거구 체제가 유지되면 새정치민주연합 내 갈등이 불거질 수밖에 없어 "시간은 우리 편"이라고 판단하면서 '버티기 전략'에 돌입한 걸로 풀이된다.
실제로 현행 체제를 기준으로 헌법재판소가 결정한 선거구별 인구격차 2대 1을 적용하면, 황주홍(전남 장흥·강진·영암) 의원과 유성엽(전북 정읍) 의원 등 비노(비노무현)계 의원들의 지역구가 인구 하한 기준 미달로 통폐합 대상에 포함된다.
이 때문에 현행 체제로 갈 경우 비노계를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 나오면서 야당 지도부에 부담을 주고 더 나아가 당내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투쟁을 통해 비노계의 탈당을 막았던 친노세력이 이번엔 또 선거구 획정을 무산시키며 새로운 비노계의 정치 행동을 제약한다"며 "문재인 대표가 '친노 프레임'만 벗으면 선거구 획정 문제는 하루 안에 해결된다"고 말했다.
당내 분열이란 측면에서는 새누리당이 야당보다 부담이 적은 게 사실이다.
의원정수 300명을 유지하는 가운데 비례대표수를 줄이고 지역구 수를 늘려 농어촌 지역대표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 지도부의 입장은 소속 농어촌 지역 의원들의 요구와 결이 같기 때문이다.
당 고위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야당에 농어촌 지역대표성을 살리기 위한 구체적인 안을 제안한 것이 있다"며 "비례대표수를 좀 줄이는 대신 새정치연합이 명분상으로 결코 불리하지 않은 안"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새정치연합이 지역구도 완화라는 명분으로 강력히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대신 아깝게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해주는 석패율제를 제안한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은 선거구 협상 교착과는 별개로 당내 경선 준비에 발 빠르게 착수한 상황이다.
김무성 대표가 전날 "당내 후보경선 일정을 앞당기겠다"고 밝힌 데 이어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예비후보 등록을 하는 다음 달 15일부터 정치 신인들이 자신을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그전에라도 신인들이 자기를 알릴 방안을 강구해 곧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또 현행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의 운영 방식과 구조가 비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획정위 의결 요건과 위원 구성방식을 변경하는 내용이 담긴 공직선거법 개정안도 제출할 계획이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오전 당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되자 농담조로 "초선이 (새정치연합) 당 대표라서…"라고 말하는 등 전날 문재인 대표 등 야당 지도부와의 협상이 어려웠다고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안팎에서는 현행 의석 구도를 뒤집을 수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선거연령 하향, 투표시간 연장 등 여당이 받기 어려운 제도를 요구했던 문 대표의 협상 방식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與 “문재인, 친노 프레임만 벗으면 선거구 획정 하루만에 해결”
입력 2015-11-13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