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전태일 열사가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분신했던 1970년 이후 45주기가 되는 13일 정부여당의 노동개혁을 '노동개악'으로 규정하며 공세에 집중했다.
특히 새정치연합 소속의 박원순·이재명 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청년구직수당제'에 대한 새누리당의 공세에 맞서 청년실업 문제를 부각시키며 여론전에도 힘을 쏟았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사회불평등은 45년 전보다 심해졌고 노동자 4명 중 1명이 저임금이다. 비정규직 627만명은 2015년의 전태일이다"며 "사정이 이런데 정부는 노동시장 구조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저임금 장시간 노동체계를 연장하고 비정규직을 더 늘리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와 새누리당이 밀어붙이는 노동개악 5대 법안은 이 땅의 수많은 전태일을 양산하는 노동악법"이라며 "노동개혁의 핵심은 노동시간 단축과 비정규직 차별해소"라고 주장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이 순간 생존권을 위해 고공농성하는 수많은 전태일이 있다. 우리 시계는 1970년에 머물러 있다"며 "그럼에도 박근혜 정권은 노동개악 쓰나미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통령 후보시절 전태일 열사 동상에 헌화했던 초심으로 돌아가길 바란다"고 박 대통령을 겨냥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노동개혁 가로막는 건 비애국적 적대행위'라는 험악한 말로 국민과 야당을 적으로 규정해버렸다"며 "대통령으로부터 시작된 분열과 분노의 언어가 여당대표에게까지 전염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유승희 최고위원은 "쉬운 해고, 낮은 임금을 주장하는 일은 국가가 할 일이 아니다"며 "박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같이 노동현실도 역시 과거로 되돌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새정치연합은 전날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의 청년구직수당을 "청년의 건강한 정신을 파괴하는 아편과 같다"고 비판한데 대해 격한 반응을 보였다.
문 대표는 "새누리당의 막말이 도를 넘어섰다"고 지적한 뒤 "박 대통령은 4년 전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비대위원장을 할 때 청년취업활동수당 월 30만원 지급을 주장한 바 있다. 대통령이 되기 전과 된 후가 이렇게 다를 수 있나"고 비난했다.
오영식 최고위원은 "지자체에서 청년실업 문제에 대해 많은 의견수렴과 정책적 검토를 통해서 제시한 정책에 대해 입에 담을 수 없는 막말을 정부여당이 하고 있다"며 "오늘 의 청년세대 현실을 볼 때 이것은 무책임하고 후안무치한 태도"라고 쏘아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野 “대한민국 노동 시계는 1970년 전태일 시대에 머물러 있다”
입력 2015-11-13 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