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자꾸 끌고 가는 것은 세계적인 정서와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연합뉴스를 비롯, 아시아태평양 뉴스통신사 기구(OANA) 소속 회원사 등과의 공동 인터뷰에서 최근 한일정상회담의 '위안부 조기 타결' 협의 가속화 합의를 바탕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결단을 촉구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아태지역의 대표적인 뉴스통신사들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문제 조기 타결을 강조하며 '세계적인 정서'를 거론한 것은 국제적 규범과 기준으로 위안부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대일(對日) 압박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단순히 한·일 양국간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고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내에 가시적인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며 조속한 결단을 거듭 촉구하면서 "피해자분들이 90세 전후의 고령으로 올해만 벌써 여덟분이 돌아가셔서 이제 마흔일곱 분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되지 않는다면 일본 정부에게도 큰 역사적 부담이 될 것이며 일본의 미래세대에도 큰 짐을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를 조기 해결하지 못할 경우 '일본의 미래세대에도 큰 짐을 주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은 지난 8월 '전후 70년 담화' 발표 이후 아베 총리가 '미래 세대'와 관련지어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 인식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때 "우리들의 아이와 손자, 그 뒤 세대의 아이들에게 사죄를 계속할 숙명을 지워선 안 된다"고 말했다. 당시 아베 총리는 사죄는 "우리 세대의 책임"이라면도 정작 담화는 과거의 사죄를 인용하는 식에 그쳤다.
이런 발언은 과거에 사죄를 충분히 했으니 미래 세대는 '사죄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로 해석됐다.
아베 총리는 지난 2일 한일정상회담 후에도 일본 기자들과 만나 "위안부 문제가 장래 세대에 장해가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10일 일본 중의원에 출석해서도 "전쟁과 관계없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가운데 그들이 계속 사죄하는 숙명을 지게 해서는 안된다"고 같은 인식을 거듭 표출했다.
아베 총리의 이런 발언과는 대조적인 박 대통령의 이번 인터뷰 발언은 일본이 군 위안부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지 않을 경우 이 사안이 영구미제가 되면서 거꾸로 일본 미래세대의 역사적 짐이 될 것이라는 점을 환기시키며 일침을 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일본 정부가 조속히 제시, 이제 마흔일곱 분밖에 남지 않은 피해자 분들이 생존해 계시는 동안 명예를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위안부 해법의 기준으로 ▲피해자 수용 ▲국민 납득이라는 두 가지 원칙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특히 "과거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치유할 수 있는 아베 총리의 결단"을 거듭 촉구하며 "3년 반 만에 개최된 이번 정상회담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동력을 제공하고 한·일 관계의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며 한일관계가 신뢰를 구축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한·일 양국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가야 할 중요한 이웃"이라면서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해에 양국이 올바른 역사인식의 바탕 위에 과거사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출발하는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언급은 아베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일한 청구권협정으로 법적으로 해결이 끝났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말하는 등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유엔 등에서 이미 일본의 책임과 사과 조치가 필요하다는 보고서까지 나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이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국제적 정서에도 맞지 않는 만큼 조속히 태도를 바꿀 것을 압박한 것이라는 풀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일본,위안부 문제 자꾸 끌고가는건 세계적 정서와 맞지 않다”
입력 2015-11-13 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