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중앙무대에서 ‘광역시 승격’ 시동을 걸었다.
창원시가 지역구 국회의원 4명(강기윤·안홍준·김성찬·박성호)과 함께 12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인구 100만 이상 메가시티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상생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창원시를 광역시로 만들겠다는 것은 창원시가 고향인 안상수 시장의 6·4 지방선거 공약이자 시정목표다.
시정목표인 ‘도약의 새 시대 큰 창원’의 지향점이 광역시 승격이다.
그런데 지방자치법상 새로운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려면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창원광역시 승격 역시 법률이 발의돼야 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법률을 제정하는 국회에서 창원광역시 승격 토론회를 연 것은 큰 상징성을 갖는다.
안상수 시장은 개회사에서 “시장으로서 기초자치단체 권한이 너무 적고 제한돼 있음을 절감했다”며 “인구 108만의 창원시가 인구 10만의 기초지자체와 똑같은 자치권한을 가지고 있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창원시가 광역시로 승격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의견이 쏟아졌다.
김안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명예교수는 창원광역시 승격이 경남도를 위축시키지 않고 오히려 상생발전을 촉진하는 등 큰 도움이 된다고 시종일관 강조했다.
그는 경남의 중심에 위치해 광범위한 배후지역을 지닌 창원이 광역시가 되면 성장세가 경남 사방 곳곳으로 퍼질 수 있다는 논리를 폈다.
또 도청이 경남 내 다른 곳으로 옮기면 새로운 수부(首府)도시가 나와 창원을 대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청이 진주시로 옮기면 진주가 수부도시로 성장하면서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광역시 승격이 창원시의 인구·경제지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2018년 창원시가 광역시로 되는 것을 전제로 현재 108만명인 인구가 2028년에는 120만명으로, 지역총생산(GRDP)은 2014년 37조원에서 2028년에는 80조~85조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광역시 승격을 하지 못하면 2028년 인구는 현재와 비슷한 108만4000여명, GRDP는 60조원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명예교수의 발제에 이어 토론자들도 창원광역시의 긍정적 효과를 집중 거론했다.
수원시가 지역구인 김용남 국회의원은 “자치제도는 해당지역 주민의 선택권을 최대한 존중해줘야 한다”며 “창원시민 다수가 광역시 승격을 원한다면 정부와 경남도는 건설적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박승주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겸임교수는 “창원시가 경남에서 떨어져나가더라도 경남도청이 진주시로 옮기면 경남도의 자생적 발전이 가능하다”고 봤다.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부산·울산만으로는 오사카, 도쿄, 상하이 등 아시아 메가시티권과 규모에서 차이가 난다”며 “울산~부산~창원을 연결하는 남해권 대도시권 구축은 글로벌 경쟁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지적했다.
강정운 창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경남도가 창원광역시 추진의 심리적 인프라를 만들어 준 측면이 있다는 의견을 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창원시, 국회서 광역시 승격 강조 토론회 열었다
입력 2015-11-12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