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12일 전격 회동했다.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 도중에다.
지난 2·8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자리를 놓고 맞붙었던 두 사람의 만남은 문 대표의 거취와 지도체제를 둘러싸고 당이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두 사람이 입장차만 확인하고 다시 등을 돌리느냐, 아니면 어느 정도 접점을 찾느냐에 따라 호남 민심의 이반으로 표출된 당 내분 사태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입'이었던 박 전 원내대표가 호남에 일정정도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점에서 텃밭 복원이 급선무인 문 대표로선 어느 정도 박 전 원내대표 끌어안기에 나서야 할 상황이다.
또한 혁신위의 '공천배제 조항'으로 탈당 가능성까지 시사했던 박 전 원내대표는 공천 문제에 대한 매듭이 개인적으로 시급한 문제이다.
두 사람은 박 전 원내대표의 제안으로 국회 당 대표실에서 배석자 없이 1시간 동안 진행된 이날 회동에서 통합전당대회, 통합조기선대위 등 지도체제와 문 대표의 거취 등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눴다고 박 전 원내대표가 회동 후 기자들에게 전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대표께서도 하실 말씀을 다 하셨고, 저도 드릴 말씀을 다 드렸다"고 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문 대표에게 "어떠한 경우에도 자꾸 기일이 연장돼 당내 불만이 고조되면 더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온다"며 "대표가 계획을 갖고 일정을 말씀해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이 순간 최대의 혁신은 통합으로, 당이 분당으로 가선 안 된다"며 "반드시 통합해서 승리할 수 있도록 대표가 결단을 내려줘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문 대표는 "어떻게 해서든 (당내 의견을) 외면하지 않고 당의 통합과 단결, 총선 승리, 정권교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자"고 했다고 박 전 원내대표는 전했다.
다만 문 대표의 구체적 발언에 대해선 "얘기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고 말을 아낀 뒤 "대표가 좋은 결단을 내려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회동 후 별다른 언급 없이 선거구 획정 협상을 위한 여야 '4+4' 회동장으로 이동했다.
앞서 박 전 원내대표는 4·29 재보선 참패 이후 문 대표 책임론을 제기하며 문 대표와 각을 세워왔다. 당 혁신위의 공천배제 조항으로 위기에 처하자 탈당 가능성까지 열어두며 강력 반발했다.
문 대표는 박 전 원내대표가 구제대상에 해당한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앙금이 쉽사리 해소되진 않았다. 박 전 원내대표는 10·28 재보선 참패 뒤에는 문 대표를 향해 "왜 자기도 죽고 당도 죽이려고 하느냐"며 사실상 2선 후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서로 할말 다했다” 박지원 “결단하라”-문재인 “통합 노력”
입력 2015-11-12 12:47 수정 2015-11-12 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