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계파간 동상이몽 계속된다” 당내갈등 재점화…비주류, 지도부 개편론 압박

입력 2015-11-09 21:11

새정치민주연합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국에 집중하는 동안 잠복상태로 있던 당내 갈등이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교과서 정국이 다소 가라앉을 조짐을 보이자 한동안 소강상태였던 지도체제, 총선 공천방식 등을 둘러싼 주류, 비주류 간 마찰이 다시 표출되며 파열음을 내고 있다.

비주류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은 9일 오찬 회동을 하며 문재인 대표의 거취를 포함한 당내 현안 전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오찬에는 김영환 이종걸 김동철 오제세 조경태 주승용 문병호 장병완 유성엽 최원식 황주홍 의원 등 11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회동 후 발표한 성명에서 "문재인 대표는 10·28 재보선 참패 결과에 책임을 지기는 커녕 아무런 성찰도 없는 태도로 일관, 지지층을 실망시키고 지지기반의 붕괴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 대표는 준엄한 국민의 심판을 받아들이고 하루빨리 당의 혁신과 단합, 야권통합과 대단결을 통한 총선승리 비전을 밝혀야 한다"며 "문 대표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회동에서는 문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고 당내 의원들을 상대로 연판장을 돌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일단 사퇴 요구는 보류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선대위 또는 통합전대 등 새 지도체제를 놓고는 민집모 내부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문희상 이미경 김성곤 박병석 신계륜 의원 등 4선 이상 범주류 의원들도 문 대표와 오찬을 함께 하며 당내 현안을 논의했다.

국회 부의장을 지낸 박병석 의원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안심번호제를 전제로 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를 여야 대표간 합의대로 추진하도록 해달라고 문 대표에게 건의했다"며 "당 단합을 위해 많은 분들과 대화를 깊이 나눠달라는 의견도 전달했으며, 문 대표도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송영길 전 인천시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 개편론을 제기한 뒤 "당 지도부는 빨리 공동선대위 체제로 개편하고 정비해 힘을 모으는 게 필요하다"며 "문 대표 체제가 변화되지 않겠냐. 공동지도체제가 곧 출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실상 통합선대위 구성을 거론한 것으로서, 송 전 시장은 50대 중립성향 중진급 모임인 '통합행동'의 구성원이어서 발언 배경이 주목된다.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둘러싼 비주류의 압박도 거세질 전망이다.

최규성 의원은 지난달 중순 80여명의 서명을 받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의원총회에서 논의하자고 촉구했는데, 이 방안대로라면 현역의원 20% 물갈이를 위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의 평가결과가 무력화되고 전략공천의 여지도 없어지게 된다.

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직도 의총을 열지 않는 것은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는 혁신과 통합의 명분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묘책을 강구하고 있다. 당 안팎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점에 이의가 없지만 자칫 화해의 손길이 지분 나눠먹기나 반(反) 혁신으로 귀결되면 안된다는 인식 때문이다.

문 대표는 당무위 모두발언에서 "국민이 원하는 혁신의 핵심은 단합"이라며 "우리가 단합해 부단히 혁신하면 국민이 승리할 힘을 줄 것이라고 확신하다"고 혁신과 단합을 강조했다.

현재 주류와 비주류는 물밑에서 대화를 진행하며 절충점을 모색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견을 표출하며 진통을 겪고 있어 특단의 합의가 도출되지 않는 한 당분간 당내 갈등이 확산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계파간, 그리고 계파내에서도 동상이몽이기 때문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