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숙박 객실 2018년 이후 4300실 이상 남아돈다

입력 2015-11-09 17:15
제주도는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제주지역 관광숙박시설 수요공급 분석’을 한 결과, 2018년 관광호텔을 기준으로 약 4330실 이상의 과잉 공급이 예측된다고 9일 밝혔다.

도는 이에 따라 숙박시설의 균형적 공급을 유도하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광숙박시설 적정공급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이는 숙박시설 적정 공급을 위해 숙박시설 건축기준을 강화하고 관광진흥기금 융자 한도액·횟수 축소 등의 정책을 펴 왔지만 공급과잉에 대한 부작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앞으로 관광진흥조례 개정을 통해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이 없는 자연녹지지역과 일반주거지역·자연취락지구에는 관광숙박시설 승인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또 대규모 개발사업인 경우 숙박시설과 휴양문화시설 등 사업지구별 착공시기를 조정하고 착공 전 토지소유(사용)권 확보 의무도 강화한다.

내년부터는 신규 관광숙박시설에 대한 관광진흥기금 지원을 중단하는 대신 기존 숙박시설 개·보수와 관광사업자 운영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관광진흥기금 제도를 손질할 계획이다.

도는 이와 함께 장기 미착공 사업장에 대해 승인 취소 등 엄격한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숙박시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전산통계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도내 관광숙박업소는 관광호텔 105곳(1만1501실), 휴양콘도 55곳(7355실), 가족호텔 54곳(3339실), 호스텔 114곳(2742실), 전통호텔 2곳(26실) 등 총 329곳 2만4963실이다.

도는 2013년부터 올해까지 자연녹지(취락지구)에 144곳(7452실), 주거지역에 11곳(557실)의 숙박시설을 승인해줬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