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기어코 세계기록유산 제도변경 착수- 日반발에 밀려

입력 2015-11-09 17:06

유네스코가 난징(南京) 대학살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로 일본의 반발을 사자 제도 변경을 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세계기록유산 제도의 변경에 필요한 작업에 착수했다는 사실을 하세 히로시(馳浩) 일본 문부과학상에게 확인해줬다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스가 관방장관은 지난 6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보코바 사무총장과 하세 문부상의 회담에서 “세계기록유산의 투명성 향상 등 제도개선 필요성 등에 관한 문제의식이 공유됐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스가 장관은 또 유네스코의 “역사에 관해 심사하는 부문에 일본 출신이 아무도 없고, 중국이 의장이고 아마도 한국이 부의장”이라며 일본인을 이 영역에 파견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밝혔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핵심 인사들이 언급했다가 ‘감정적 대응’이란 비판을 받았던 유네스코 분담금 중단 또는 축소 구상에 대해서도 “유네스코 사무국과의 협력 방식에 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포함해 수정을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라며 압박카드로 여전히 유효함을 시사했다.

일본의 유네스코 분담금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의 11% 수준인 약 37억엔(약 346억원)이며 이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