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20대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 진출을 꿈꾸는 정치 신인들의 마음은 급하기만하다.
총선이 5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야간 대치정국이 이어져 선거구획정이 늦어지고 있는데다가 당내 후보공천안 논의는 진전이 없고, 현역 의원들의 프리미엄을 보장하는 공직선거법 독소조항에 대한 개정논의도 실종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겠다는 다부진 각오로 도전장을 내민 정치 신인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3중고'를 호소하고 있다.
새누리당 후보로 경기 의왕·과천 출마가 거론되는 최형두 국회대변인은 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 상황은) 신인들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환경"이라면서 "선거구 획정도 지지부진한데다가 경선룰마저 제때 정해지지 않으면 국민의 선거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인들은 다만 역사교과서 문제로 꽉막혔던 정국이 전날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계기로 돌파구가 생길 조짐을 보이자 선거에 대비한 정치권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섞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우선 여야에 조속한 선거구획정을 촉구하고 있다. 통폐합 또는 분구 등 조정대상 선거구에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신인들은 '링'이 결정되지 않자 어느 지역에 가서 출마 채비를 해야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 전주 지역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출마를 고려중인 홍석빈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은 "선거구 획정이 빨리 돼야 출마의사를 결정하고 본격적으로 뛸 수 있는데, 변수가 워낙 많아서 함부로 출사표를 내기 힘든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신인들은 여야의 대립으로 법정시한인 오는 13일까지 선거구획정은 사실상 물건너갔다고 보고 있지만, 20대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내달 14일까지는 어떤 일이 있어도 선거구획정이 마무리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신인들은 각 당의 후보공천안이라도 조속히 매듭지어줄 것을 당 지도부에 당부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이른바 '국민공천제' 실시를 공언하고 나섰지만 구체적인 경선 방법이나 시기를 정하기는커녕 이를 논의할 특별기구 인선부터 난항을 겪고 있어 공천방안 논의는 오리무중이다.
새누리당 후보로 강원도 원주에서 출마를 준비 중인 박정하 전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오리무중 선거구에, 깜깜이 경선룰까지 뒤엉킨 요즘 같아선 1분1초가 아까운 신인들은 울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경우 당 혁신위원회 활동을 통해 '현역의원 20% 물갈이' 및 안심번호 도입시 100% 국민경선 실시 등을 골자로 한 후보공천안을 당헌당규로 확정했으나 과반이 넘는 80명의 의원들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는 등 공천안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새정치연합 후보로 서울 서대문을에서 도전장을 내민 권오중 전 서울시청 정무비서관은 "하루빨리 공천룰을 확정 짓고 물갈이든, 전략공천이든 진행이 돼야 선거 분위기로 전환될 텐데 이런 답보 상태가 연초까지 넘어가면 국민의 정치불신만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역 의원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현행 선거법에 대한 개정논의도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새누리당 후보로 경북 경주시에서 출마를 고려 중인 이주형 전 청와대 비서관은 "애초 현역과의 불공정성을 최소화하고자 사전선거운동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이 제시됐지만, 법 개정은 이미 물 건너간 것 아니냐"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새정치연합 후보로 수도권에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한 신인도 "현역은 의정활동을 명분으로 맘껏 지역구를 활보하는데 신인들은 얼굴을 내밀 기회도 없고, 자칫 불법 선거운동의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면서 "원외들의 고충이 상당하다"고 토로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3重苦에 속이 타들어간다” 총선 도전 신인들, 선거구획정·경선룰 조속 확정 촉구
입력 2015-11-09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