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 사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부정행위자가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박홍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능 부정행위로 적발된 수험생은 2011학년도 97명에서 2015학년도 209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능 부정행위자는 2012학년도에 171명으로 배 가까이 늘었다가 2013학년도에는 153명으로 소폭 줄었다. 2014학년도에는 다시 188명으로 증가하더니 지난해 수능에서는 209명으로 더 늘었다.
최근 5개년도 수능에서 부정행위로 적발된 인원은 총 818명에 달한다. 적발된 수험생은 모두 성적이 무효 처리됐다. 이중 3명은 다음해 응시자격까지 박탈됐다.
부정행위 유형별로는 시험장에 반입이 금지된 휴대전화를 소지한 경우가 342건으로 가장 많았다. 두 과목을 선택해 응시하는 4교시 탐구영역에서 과목당 배정된 시험시간 30분을 지키지 않고 미리 다른 과목 문제를 풀다 적발된 경우가 325건으로 뒤를 이었다. 시험 종료 뒤에 답안을 작성했거나(58건), 기타 전자기기 소지(39건), 감독관 지시 불이행(20건) 등의 이유로 부정행위의 불명예를 얻기도 했다.
박 의원은 “공정성이 생명인 수능시험에서 부정행위가 늘어나는 만큼 교육당국이 사후 단속은 물론 사전예방조치를 더욱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수능 부정행위 4년새 두배 '껑충', 휴대전화 소지와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방법 유의해야
입력 2015-11-09 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