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지웅은 5일 자신의 트위터에 “출판사가 문학의 해석에 있어 엄정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글을 올려 출판사의 유감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아울러 그는 “모든 문학은 해석하는 자의 자유와 역량 위에서 시시각각 새롭게 발견 된다”며 “제제는 출판사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꼬며 아이유의 신곡을 옹호하기도 했다.
앞서 아이유는 지난달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에서 모티브를 따온 신곡 ‘제제’를 발표해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소설을 아꼈던 독자들은 일부 가사가 소아성애를 내포하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더욱이 아이유는 신곡 관련 인터뷰에서 “소설에 등장하는 제제의 친구 밍기뉴의 관점에서만들었다. 주인공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서는 잔인하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 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해 선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당시 네티즌들은 어떻게 학대당하는 5세 소년을 보고 성적인 은유를 담은 가사를 쓸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며 비난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간한 출판사 동녘이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니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동녘 측은 “제제는 가족에게 학대 받아 상처가 가득한 다섯 살짜리 아이”라며 “밍기뉴는 그런 제제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라고 설명했다. 또 “이 작품은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면서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라고 소개하며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한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출판사의 이같은 공식 입장에 대해 영화평론가 허지웅이 일침을 가하는 글을 올리자 네티즌들은 허지웅까지 비난하고 있는 모양새다. 해당 글은 SNS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지며 회자되고 있다.
글을 본 네티즌들은 “허지웅은 무슨 권리로 얘기하는 건지 모르겠다” “허지웅보다 출판사가 더 권리 있어보인다” “창작과 해석의 다양성을 핑계로 소아성애를 합리화 하는 것이 문제다” “출판사에 가이드라인 제시하지 말라면서 본인이 제제에 빙의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냐” “문화가 아니라 범죄라는 게 문제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허지웅의 발언을 비판했다.
일각에선 “번역가도 아니고 출판사가 나서서 유감을 표명하는 건 아닌 듯” “맞는 말이긴 하지만 초점이 잘못됐다” 등의 반론을 제기한 네티즌도 있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