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막기 위해 추진하는 제 정당 및 학계·시민사회단체 '공동투쟁기구'가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야권의 국정화 저지 3자 연석회의 내에서도 반대에 부닥치는 등 난항하고 있다.
공동투쟁기구는 1987년 6월 항쟁 당시의 '범국민운동본부'를 모델로 삼아 정당, 학계와 시민단체가 광범위한 투쟁을 전개한다는 야심 찬 구상이었지만, 파트너들과 충분한 협의 없이 의욕만 앞세운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 함께 3자 연석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5일 성명을 내고 "정당과 시민사회를 하나로 묶는 강력한 단일 투쟁본부를 만드는 접근은 효과적이지 않다"라며 공동투쟁기구에 제동을 걸었다.
심 대표는 "새누리당과 박근혜정권의 이념·정치공세의 빌미를 제공하고 오히려 광범위한 범국민적 불복종운동을 협소화할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며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
애초 새정치연합은 이날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제 정당과 사회단체 연석회의를 열어 공동투쟁기구 출범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지만, 정당과 함께 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일부 시민단체들이 참여를 꺼리면서 취소됐다.
시민사회 각 주체의 자발적인 국정화 저지 움직임을 장려해야 할 시기에 정치권이 엮이면 오히려 국민의 지지가 줄어들지 않을까라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새정치연합이 함께 투쟁에 나설 시민단체 및 야 3자와 사전에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은 탓에 투쟁기구 출범이 지연될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천정배 의원은 "아직 제안받은 바가 없다"며 "보고 나서 신중하게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野,교과서 공동투쟁기구 난항…3자 연석회의도 엇박자
입력 2015-11-05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