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5일 계류중인 법률안 통과를 위한 본회의 개최를 놓고 협의를 벌였으나 결국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또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고시 이후 공전하는 국회 정상화 논의도 불발됐다.
국회 의사일정이 사흘째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여야가 절충에 실패함에 따라 현재 심의 중인 내년도 예산안과 계류 중인 각종 법률안 처리가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졌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오후 새누리당 원유철,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를 의장 집무실로 불러 면담하고 중재에 나섰으나 여야간 입장차만 확인했다.
새누리당 유의동 원내대변인은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오전에 여야간 입장차가 존재했고, 조금 전 회동을 통해 좁혀가는 과정"이라면서 "내일 오전 중 양당 (원내)수석(부대표)간 논의가 다시 있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오늘은 물론이고) 내일 본회의 가능성은 없다"면서 "현재 각 당이 처리하고자 하는 법률안을 놓고 실무적으로 논의해 보고 있으며, 내일 중점 처리 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 의장은 모두 발언에서 "어차피 오늘은 본회의가 개최가 어려울 것 같다"면서 "예산안 처리 법정시한인 12월 2일을 지킴으로써 국민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19대 국회가 되도록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원 원내대표는 "역사교과서는 정부 고시가 됐으니 국사편찬위원회나 전문가에게 맡기고 정치권과 국회는 민생에 집중했으면 좋겠다"면서 "특히 청년 일자리를 만들려는 노동개혁이나 경제활성화법, 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은 하루빨리 통과시켜 국민이 바라는 국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촉구했다.
이 원내대표는 "전격적인 유신헌법, 이후 긴급조치를 발령한 것과 같은 상황인데 예정된 국회를 제대로 진행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면서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회가 정상적으로 가지 못한 원인은 전적으로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오늘도 올스톱 국회...정상화는 언제?
입력 2015-11-05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