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기초자치단체가 사용한 업무추진비는 평균 5억4300만원으로 나타났다. 살림살이 규모에 비해 업무추진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마포구였다.
4일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정보공개사이트 재정고(lofin.moi.go.kr/)에 따르면 지난해 243개 지방자치단체가 쓴 업무추진비는 1649억69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1억원가량 적었다. 업무추진비는 자치단체장이 기관을 운영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등 공무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으로 각종 회의 개최 비용, 식대, 선물비 등이 포함된다.
자치단체들의 세출결산액 대비 업무추진비 비율은 평균 0.09%였다. 광역자치단체는 평균 0.05%, 기초자치단체는 평균 0.13%였다.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업무추진비 지출액은 평균 5억4300만원이었다. 기초자치단체 중 서울 자치구 14곳과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부천시, 안산시, 용인시, 안양시, 충북 청주시, 경남 창원시 등 23곳은 10억원이 넘었다.
특히 서울 자치구들은 상대적으로 업무추진비 지출 비중이 높았다. 마포구는 14억4400만원을 사용해 세출결산액 대비 업무추진비 비율이 시·군·구 평균의 3배인 0.39%로 가장 높았다. 중구(0.38%), 종로구(0.37%), 용산구(0.35%), 성동구(0.34%) 등도 높은 수준이다. 서울시는 69억1500만원으로 세출결산액의 0.04% 수준이었다. 기초자치단체를 포함한 시·도(세종시 제외) 업무추진비 비율은 서울과 제주가 0.12%로 가장 높고 인천(0.06%)이 가장 낮았다. 세종시는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세출결산액 규모가 현저히 작아 업무추진비 비율이 0.13%로 높게 나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업무추진비 총 1649억원, 기초단체는 평균 5억4300만원
입력 2015-11-0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