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는 2015년도 민간근무 휴직제 희망 기업을 조사한 결과 총 65개 기업에서 74개 직위에 대해 채용 계획서를 제출했다고 4일 밝혔다.
'민간근무 휴직제'는 민·관 교류 차원에서 공무원이 일정 기간 민간기업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제도로, 지난 2002년 처음 도입됐으나 민·관 유착 등의 우려가 제기돼 활성화되지 못했다.
인사혁신처는 올해부터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기로 하고, 공무원이 중소·중견기업 뿐만 아니라 대기업에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각종 제한을 완화했다.
올해 공무원 채용계획서를 제출한 기업을 보면 대기업 29곳(44.6%), 중견·중소기업 27곳(41.6%), 기타 단체·협회 9곳(13.8%) 등이다.
특히 삼성·현대자동차·SK·LG 등 주요 대기업은 대부분 공무원 채용계획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3곳(35.4%)으로 가장 많고, 금융·보험 11곳(16.9%), 서비스업 9곳(13.8%)이었고, 건설·선박·운수·협회 등 기타 업종은 22곳(33.8%)이다.
기업이 희망한 직급별 요청 인원은 4급 이상 간부가 53명, 5급 이하 21명 등 74명이었다.
인사혁신처는 근로조건과 업무의 적정성 등을 검토한 뒤 이달 중에 대상 기업과 직위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어 직위별 공모 방식으로 후보자를 모집한 뒤 적격자를 선정해 각 기업에 최종 추전할 방침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민·관 교류에 삼성·현대차 등 대기업 신청...65개 기업 신청
입력 2015-11-04 1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