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경기도와 서울시가 화재나 교통사고로부터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 등에서는 가장 안전했지만 화재와 교통사고, 감염병에서는 전국에서 가장 취약했다. 기초단체 중에는 대구 달성군, 경북 울릉군, 충북 증평군 등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전국 시·도와 시·군·구의 7개 분야 지역안전지수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에 관한 국가 주요통계를 활용해 지자체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것이다. 7개 분야는 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등이며 수치는 지난해 안전통계를 활용해 산출됐다. 안전지수는 1~5등급으로 분류했는데 1등급은 안전지수가 평가대상 상위 10%이내, 2등급은 다음 25%, 3등급은 다음 30%, 4등급은 다음 25%, 5등급은 최하위 10%에 해당된다.
특별·광역시 중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는 서울시가, 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은 세종시가 1등급을 받았다. 울산시는 감염병 분야가 1등급이었다. 5등급은 화재·교통사고·감염병 분야는 세종시, 자연재해·범죄는 광주시, 안전사고는 울산시가 받았다.
도 중에는 경기도가 화재·교통·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고, 전북은 자연재해에서 1등급이었다. 전남은 범죄 분야는 1등급이었지만 화재·교통사고·자연재해·감염병 등 4개 분야에서 최하등급을 받았다.
시·군·구 중에서는 대구 달성군이 범죄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경북 울릉군·충북 증평군은 5개 분야, 서울 송파구·부산 기장군·인천 옹진군·울산 울주군·경기 수원시와 군포시 등은 4개 분야에서 1등급이었다.
전국 지자체의 분야별 안전등급은 안전처 홈페이지와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전처는 지역안전지수 공개로 지자체 간 선의의 경쟁이 이뤄져 안전에 대한 책임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안전처는 매년 지역안전지수를 산출·공개해 지자체별로 안전지수 개선, 안전사고 사망자수 감축 등을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1년 단위로 지역안전지수 개선 상황을 점검해 우수 지자체에는 소방안전교부세와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내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지자체별 감축목표를 설정해 다양한 안전사업을 추진토록할 계획이다. 또 안전지수 중·하위 지역들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안전취약요인들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또 200여종의 안전관련 통계정보를 활용한 지역안전진단시스템을 고도화해 지자체들이 안전지수를 자체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지역안전지수 공개가 우리나라의 안전수준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경기도, 교통사고·화재 등 5개 분야 안전지수 1등급…안전처, 지자체 7개 분야 안전지수 첫 공개
입력 2015-11-04 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