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벌가 사칭 노인상대 640억 다단계 투자사기단 44명 검거

입력 2015-11-04 10:00 수정 2015-11-04 14:05
일본 재벌그룹을 사칭해 노인과 가정주부 등을 상대로 640억원대 다단계 투자사기를 벌인 일당 44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부산중부경찰서(서장 이선록)는 일본 재벌그룹에 지분을 가지고 있다고 속이고 “상황버섯 수출사업에 투자하면 10주에 걸쳐 투자금의 130%를 지급하겠다”며 노인과 가정주부 등 2274명으로부터 640억원 상당을 편취한 혐의로 한국세이부그룹 회장 김모(60)씨 등 그룹 임원 12명을 구속하고, 본부장 및 각 지역지사장 등 2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4일 밝혔다.

경찰은 또 이 그룹 김씨 등이 검거되어 조직이 와해되자 투자금을 손해 본 투자자들에게 접근해 “개똥쑥을 구입해 판매원으로 가입하면 고액의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속이고 399명으로부터 16억7000만원을 편취한 혐의(특가법상 사기)로 무등록 후원방문판매업체 회장 김모(51)씨와 대표 임모(59·여)씨 등 2명을 추가로 구속하고, 업체 관계자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한국세이부그룹 회장 김씨 등은 지난 2월 2일부터 8월 26일까지 부산 중앙동에 1515㎡ 규모의 사무실을 두고 노인 및 주부인 투자자들을 상대로 “한국세이부그룹은 국내 10개 계열과 해외 2개 법인을 가진 그룹이다. 회장 김씨는 일본 재계 5~8위 규모의 일본 세이부그룹 회장의 무남독녀 딸과 결혼해 아들 2명을 두고 있으며, 첫째 아들이 일본 세이부백화점의 사장이고, 둘째 아들은 상무이다. 나중에 그 재산을 다 물려받는다”고 재력을 과시하면서 “상황버섯을 키워서 일본에 있는 제약회사에 수출을 하면 300%의 수익이 남고, 그 수익으로 배당금을 준다. 투자를 하면 투자금의 130%를 10주간에 걸쳐 지급하겠다”고 속이고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모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 결과 한국세이부그룹은 실체가 없는 허위 그룹으로 회장 김씨는 일본 세이부그룹과도 무관하고, 일본에 상황버섯을 수출을 통해 수익을 내지 못하면서 후순위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투자금으로 선순위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해 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회장 김씨는 그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을 속이기 위해 자신이 “MBC 출신 청와대 출입기자 간사였다”고 하면서 임의로 제작한 청와대출입기자증을 만들어 투자자들에게 보여주거나, 호텔 연회장에서 그룹 설립식 등 행사를 개최할 때나 회사 사무실에서 투자자들을 상대로 사업설명회를 할 때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인한 일본 유명 기업이나 국내 정·재계 인사들 명의의 화환을 수 십 개씩 진열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허위의 인맥을 과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씨 등은 영업1부, 영업2부 및 부산·경남팀 등으로 조직을 갖추고 그 하부에는 유치한 투자금에 따라 1억원 초과 시 팀장, 2억원 초과시 지점장, 5억원 초과시 본부장 등의 직급을 부여하고 각 직급에 따라 투자금의 6%, 9%, 12%의 직급수당을 지급해 왔다. 또 각 지역의 다단계 유사수신 전력자들을 끌려들여 지사장으로 임명을 하고 유치한 투자금에 따라 지사운영비, 직급수당 등을 지급하면서 대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해 왔다.

경찰이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한 8월 26일 오전 11시 쯤에도 사무실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여 든 200여명의 투자자들이 사업설명회에 참여하고 있었다.

특히 김씨 등은 8월 21일부터 8월 24일까지 4일 동안 기존의 10주간 130%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투자금액의 50%를 즉시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프로모션제도 진행했는데, 경찰에서 입금 계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동안에만 110억원의 투자금이 입금된 사실이 확인됐다.

김씨 등은 현금이 없는 투자자들을 상대로도 투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허위의 매출을 가장해 카드결제를 하도록 하거나 투자자들로부터 카드를 건네받아 투자금에 상당하는 금액만큼 회사 운영경비로 사용하거나, 투자자들에게 지급하는 명품가방 등 선물을 구입하는 비용으로 사용해 왔다.

경찰이 은행거래내역 등을 분석한 결과 허위의 매출을 가장한 금액이 40억원 이상이였으며, 김씨 등이 투자자들로부터 건네받아 회사 운영경비 등으로 사용하다가 경찰에 압수된 신용카드도 87장에 달했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노인 및 주부 등이었으나, 전직 금융업계 종사자나 학원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나 일반 회사원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피해자 김모(30·여)씨는 경찰에서 “일본 재벌가의 사위가 운영하는 재벌그룹이라는 말을 믿고 투자를 했고 배당금이 제대로 나오자 투자금을 늘려 카드결제 및 카드론 대출 등의 방법으로 1억원 상당을 투자했으나 피해를 보게 됐다”며 “더 이상 돈을 갚을 방법이 없어 개인회생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김씨 등이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투자금을 숨겨 둔 것으로 보고 투자금을 추적하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