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뇌·혈관 융합 ‘하이브리드 수술’ 본격화

입력 2015-11-03 17:20

심장, 뇌, 대동맥 등 다양한 고난도 혈관 수술을 통합적으로 안전하게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시대가 본격화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병원장 승기배 교수)은 3일 하이브리드 수술실을 오픈하고 원스톱 환자 맞춤형 통합 혈관 치료에 나선다고 밝혔다.

최근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과 당뇨, 비만 환자의 급증으로 심장?뇌?혈관 질환이 증가 추세다. 특히 복잡한 다혈관 질환자는 최소한의 소규모 수술과 혈관 내 스텐트 시술을 병행해 합병증과 입원기간을 최소화하는 하이브리드 수술법이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다.

심뇌혈관센터장 신용삼(신경외과) 교수는“하이브리드 수술은 자동차가 석유를 이용해서 운행하다가 전기를 이용하면서 자원도 아끼고 환경도 보존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리는 것처럼 환자 치료에 있어서도 내과적 요법인 스텐트 삽입술과 외과적 치료인 수술을 병행해 양쪽의 장점을 다 살리는 것”이라고 했다.

신 교수는 복잡한 뇌혈관 질환을 예로 들면서“환자를 위한 최선의 치료를 위해 색전술과 개두술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이브리드 수술실은 한 수술실내에 혈관조영장치와 수술실을 갗추어 시술과 수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출혈 환자가 심한 두통을 호소하거나 의식이 나쁜 상태로 내원하면 기존 방법은 환자를 국소 마취하에 뇌혈관조영술을 하고 이 결과에 따라 뇌동맥류의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실로 환자를 옮겨서 수술을 진행한다.

이런 경우 검사 도중 환자의 혈압이 상승하여 재출혈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검사후 환자를 다시 수술실로 옮겨서 마취를 진행하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이브리드 수술실은 뇌출혈 환자를 처음부터 한 방에서 전신마취하에 검사를 시행하고 코일색전술이나 뇌수술을 원스톱으로 시행할 수 있다.

즉 검사시 뇌동맥류 환자의 재출혈을 막을 수 있고 이후 고난도의 수술과 수술후 혈관조영술로 수술 결과를 확인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 교수는“병원은 이미 뇌혈관 뿐만 아니라 심장혈관, 대동맥 및 말초 혈관치료를 위한 순환기내과, 혈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그리고 영상의학과 등 최고의 전문 의료진이 유기적으로 협진을 할 수 있도록 의료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또 “이번 하이브리드 수술실 개소로 병원 심뇌혈관센터가 환자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있는 모든 고난도 혈관수술을 가장 안전하게 시행할수 있는 명실상부한 국내외 최고의 센터로 거듭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