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3일 당초 예정보다 이틀 앞당겨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가 이뤄진 데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이 거세게 반발하자 민생에 올인하는 기조로 차별화하며 전방위 대야압박에 들어갔다.
당 지도부는 야당의 극심한 반발은 이미 예상됐던 만큼 하루라도 빨리 현 국면을 마무리 짓고, 내년도 예산안과 각종 법률안을 처리하는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의 국회 의사일정 거부가 길어질 경우 민생경제 관련 법안 처리가 지체될 것을 우려하며 국민에게 직접 호소해 야당을 협조를 압박하는 방안도 만지작거리고 있다. 일각에선 내년 총선에서 '야당 심판론'을 적극 제기하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새누리당은 이날 예정된 국회 본회의와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인사청문회를 비롯해 상임위 회의가 무산되는 것은 물론 여야 대화도 중단되면서 국회 활동이 올스톱될 조짐을 보이자 야당에 책임을 돌리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황교안 국무총리,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하는 고위 당·정·청 회의를 열어 내년도 예산안과 노동개혁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다.
또 이에 앞서 이날 오전 국회에서는 당 '중소기업·소상공인특위' 간담회, 사회적 기업거래소 설립과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나눔경제특위' 등도 잇따라 열어 농성에 돌입한 야당과 차별화를 시도했다.
김 대표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간담회에서 "노동개혁이 안되면 산업계의 미래가 없는 상황이지만 야당이 협조하지 않아 기가 막힌 심정"이라면서 "노동개혁을 못하면 죽는다는 심정으로 야당에도 여론으로 압력을 넣어달라"고 말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이 역사교과서 문제로 오늘 합의한 본회의조차 무산시키고 농성에 돌입한 것은 대단히 유감스럽다"면서 "시급한 국정 현안을 미루고 정쟁에만 몰입하는 행위는 어려운 삶의 현장에 계신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 핵심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말이 있듯이 고시확정을 빨리해야 국면전환도 빨리 된다"면서 "국민께는 선진화법 때문에 여당 단독으로는 어떤 법률안도 처리할 수는 없으니 내년 총선에서 심판해 달라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야당의 국회 밤샘 농성에 대해 "교과서를 예산안과 민생법안 처리에 연계해서 발목을 잡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라면서 "국민이 손꼽아 기다리는 법안 처리 합의를 파기한다면 그 책임은 오롯이 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이어진 의원총회에서 결의문을 채택, 올바른 역사교과서 만들기에 총력을 다하고 대한민국 정통성과 헌정질서 수호에 앞장선다는 각오를 다졌으며 야당에 대해선 올바른 교과서 반대 투쟁을 중단하고 민생 현안 처리에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매도 먼저 맞는게 낫다” 與, 국회 보이콧 비판하며 민생 올인
입력 2015-11-03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