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예정보다 이틀 앞당긴 3일 확정 고시했다. 만만치 않은 여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면서 ‘교과서 정국’은 한치 앞을 짐작하기 어려운 소용돌이에 빠지게 됐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3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역사 교육 정상화를 위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이 자리에 섰다”며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황 총리는 “현 역사 교과서는 ‘6·25전쟁은 남북의 공동 책임’이며 북한은 국가 수립으로 기술하는 대신 남한은 정부수립으로 폄하하고 있다”며 “또 북한의 반인륜적 군사도발은 외면한 채 편향적 기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의 수정명령에 대해서도 교과서 집필진이 정부 상대 소송을 남발하고 있다. 이는 국민이 봐도 납들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나아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서는 “김일성 헌법을 대한민국 헌법보다 세세히 소개하고 있고, 문제집은 주체사상을 선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과목이 된다”며 “더 이상 왜곡되고 편향된 역사교과서로 우리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다”며 담화를 마무리했다. 이어 황우여 교육부장관이 나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 고시를 발표했다. 하지만 학계의 반대 여론이 크고, 야당도 전면 투쟁을 불사하고 있어 파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교과서 국정화 확정 고시...황교안 총리 "왜곡 편향 교과서로 아이들 못 가르쳐"
입력 2015-11-03 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