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아래에는 국정 교과서 강행을 비난하는 댓글이 줄줄이 달렸고 동영상 사이트에는 반대 시위를 하는 국민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들이 잇따라 게시됐다. SNS에는 교과서 국정 전환 확정고시를 예고했다는 소식을 시시각각 공유하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지난 2일 교육부는 지난달 12일 시작된 행정예고를 2일 밤 12시를 기점으로 종료한다고 밝히며 3일 오전 11시 정부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국민께 드리는 말씀’으로 고시안의 확정을 발표한다고 예고했다.
이 자리에서 황 총리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집필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국정화 방침의 정당성을 호소할 예정이라고 전해졌다. 행정예고 기간에 접수된 찬반 의견을 소개하고 향후 집필 방향과 추진 일정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소식이 전해지자 인터넷 곳곳에선 정부의 강행을 두고 ‘불통 정부’라는 비판 여론이 들끓었다. 그동안 국정 교과서를 반대한 내용들을 근거로 제시하며 정부의 강행을 비꼬기도 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세계최대 교원단체인 국제교원단체연맹(EI)이 최근 박근혜 대통령과 황우여 교육부장관에게 한국사교과서 국정화를 즉각 중단하라는 내용의 경고 서한을 보냈다는 소식을 전한 뒤 “국격이 떨어지고 있다”는 일침을 가한 게시물이 올라왔다.
이 게시물은 올라온 지 3~4시간 만에 1만 건에 육박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네티즌들의 큰 공감을 샀다. 대부분이 비난 댓글이지만 “장관 고시여서 막을 수가 없다” “무슨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고시될 텐데 반대한들 뭐 하냐” 등의 체념 섞인 비난도 이어졌다. “차라리 OECD를 탈퇴해라”등의 의견도 쏟아졌다.
야당의원들이 확정 고시에 반발해 본회의 보이콧을 선언하고 철야 농성에 들어간다는 뉴스 아래엔 보다 강력한 저지를 바란다는 댓글도 줄줄이 달렸다.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에도 청소년을 비롯해 각계각층에서 벌이고 있는 국정화 반대 시위를 담은 영상들이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영상 아래에는 “국민의 말에 귀를 막은 정부” “불통 중의 최고의 불통” “국민의 절대 다수가 반대하는데 강행한다니” 등의 반응이 쏟아졌다.
반면 일각에선 “아직 교과서가 나온 것도 아닌데 무조건 반대부터 하는 건 문제”라는 반론을 제기한 의견도 있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