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접경지역에 있는 중국 지린성 정부가 외국 기관과 외국인들의 간첩 활동에 대한 단속 강화를 위해 ‘반(反)간첩 핫라인’을 개통했다고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현지 언론을 인용해 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운영에 돌입한 ‘반간첩 핫라인’은 이 지역에서 직접적으로 스파이 활동을 하는 외국기관과 외국인, 혹은 이들을 위해 조사·지원 활동을 하는 외국기관과 외국인을 겨냥한 것이다. 또 이들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하는 중국 기관이나 중국인도 신고대상에 포함된다.
중국 군사전문가인 쑹중핑은 글로벌타임스에 “동북지역은 (중국의) 산업·군사기지로, 지린성은 중국의 국가안전을 수호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고 말했다. 쑹 씨는 중국을 겨냥한 외국의 간첩 활동이 근년 들어 급격하게 증가했다며, 이들은 군사관련 정보뿐 아니라 경제와 정치적인 것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9∼10월 일본인 4명이 중국에서 스파이 활동을 한 혐의로 구속됐으며 그 중에는 지린성에 있는 군사시설물 부근에서 스파이 활동을 하다 체포된 여성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또 “지린성이 24시간 운영되는 ‘반간첩 핫라인’을 개통한 첫 지방정부는 아니다”며 중국 남부의 하이난성 정부도 지난 7월에 관련 핫라인을 개통했다고 소개했다.
북중 접경 지역은 특히 국내외 활동가들도 대북 인권활동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는 지역이어서 이번 ‘반간첩 핫라인’ 개설 조치로 관련 활동이 직·간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 단둥에서 커피숍을 운영하던 캐나다 출신 기독교인 부부를 간첩 혐의로 체포한 바 있다. 이들 캐나다인 부부는 탈북자 가운데 기독교 신자를 지원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중국 당국 북·중접경서 간첩활동 단속 강화…대북 인권활동도 타격 가능성
입력 2015-11-02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