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람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11시30분 정도까지 1시간 30분 정도의 회담을 갖는다. 당초 ‘30분짜리 회담’이 될 것이라던 일부의 우려와 달리 시간은 넉넉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북핵 대응 공조 방안, 일본의 자위대 한반도 출병, 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무엇보다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어떻게 결론날 것인지 하는 부분이다. 현재까지 일반적인 예상은 양국 시각차가 좁혀지기 힘들 것이라는 분위기가 대체적이다.
외교가 일각에선 벌써부터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인신매매 피해자 수준’의 언급만 하고 넘어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모처럼의 정상회담 분위기에 취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미봉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오는 까닭이다.
이에 따라 ‘유감’ 등의 애매한 수사 등으로 위안부 문제를 매듭지으려는 일본의 술책에 휘둘리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뒤통수 맞을 수도 있는 만큼 확실한 매듭을 짓든지, 아니면 외교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겨놓는 게 더 나을 수 있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한·일 정상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측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요구해왔다. 지난달 29일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의 공동 서면 인터뷰에서도 “금년 내 이 문제가 타결돼 상처가 치유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해결 의지가 강한 반면 일본 정부는 여전히 소극적인 듯한 모습이다. 일본 정부 외교 책임자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은 지난달 30일 “우리나라(일본)의 기본적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양국은 입장 차 조율을 위해 1일에도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이 참석한 가운데 외교장관회담을 열어 막판 의견 교환을 했다. 앞서 국장급 면담과 차관보급 회동도 열어 위안부 문제의 접점 모색을 시도했다.
하지만 여전히 양국 정상회담 일정에 별도 오찬이나 공동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지 않음을 감안하면 양국 모두 고개를 끄덕일 만한 결론이 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실무 접촉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있었다면 한·일 양국 모두 공동 기자회견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