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1일 총·대선 승리를 목표로 한 야권의 '연합정부' 카드를 꺼내듦에 따라 야권 연대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심 대표는 이날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야권이 책임있는 연합정부 비전을 국민에게 제시하고 인정받을 때 정권교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동안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 내에서 야권 연대 필요성이 거론됐지만 구체화된 방식까지 나온 것은 처음이다.
심 대표 측은 연합정부가 서로 다른 정당이 규합해 여당을 구성하는 독일식 연립정부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대선 때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김대중-김종필 연대(DJP 연대)가 성사된 바 있다. DJP연대가 호남과 충청의 지역연대 성격이었다면, 심 대표의 제안은 가치와 비전을 중심으로 한 정책연대에 초점을 맞췄다는 게 차이다.
총선을 앞두고 급조한 과거 방식의 후보단일화로는 국민적 동의를 얻기 어려운 만큼 차기 정권에서 연합정부를 염두에 두고 정책을 중심으로 한 야권 연대를 내년 총선 때부터 모색해야 한다는 고민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정의당은 정책연대 분야로 선거제도 개혁, 여권의 노동개혁 저지를 꼽았다. 정의당은 새정치연합,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의 국정교과서 저지 3자 연석회의 출범 때도 이들 분야를 연대대상에 올리자고 요구했지만 동의를 못얻었다.
새정치연합은 심 대표의 제안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야권 연대를 어떤 형태로 추진하고 어떤 내용을 담을지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야권연대의 형태와 관련해 문 대표는 지난달 한 언론 인터뷰에서 경선을 통한 후보단일화를 먼저 제시한 뒤 "그런 방식의 연대가 안된다면 통합하는 게 답"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반면 심 대표의 연합정부는 기존 정당을 각각 유지한 채 일종의 연립정부를 구성하는 방식이어서 당대당 통합까지 염두에 둔 문 대표와는 상당한 시각차가 있다. 진보정당과의 결합이 '좌클릭'으로 비친다는 점도 새정치연합의 부담일 수 있다.
정의당은 선거제도 개혁과 여권의 노동개혁 저지를 우선 공조 정책으로 보지만 새정치연합은 껄끄러워하는 기류가 느껴진다.
일례로 선거제도 개혁의 경우 정의당이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에서 한 발도 물러설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인 반면 새정치연합은 병립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물론 비례대표 소폭 축소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당 모두 연대가 내년 총선 득표전에 도움이 된다는 공통인식을 강하게 갖고 있어 심 대표의 제안을 계기로 어떤 식으로든 협상 테이블에 앉을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심 대표는 "새정치연합은 국민의 뜻을 반영한 연합정치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새정치연합의 대답을 요구했다.
문 대표 측은 "아직 이 문제를 놓고 양당 간 얘기가 오간 것은 없다"며 "즉답이야 어렵겠지만 고민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정의당, 연합정부 카드로 野정책연대 제안...새정치 “검토 필요 있다”
입력 2015-11-01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