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교훈 얻어야 한다” 野, 국정화 저지 총력전 속 출구 전략 모색

입력 2015-11-01 17:14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론수렴 마감 하루 전인 1일을 전국 집중서명의 날로 정해 국정화 저지를 위한 총력전을 이어갔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관악산 입구 주차장에서 등산객을 상대로 국정화 반대 대국민 서명운동을 벌이며 여론전에 나섰다.

문 대표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향해 "(국정화 추진이) 자유민주주의 신봉세력이 아니라 친일과 독재의 후예들일 뿐이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강도높게 성토했다.

또 "(확정고시일인 5일) 확정고시가 나더라도 절대 굴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전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새정치연합은 2일 교육부를 방문해 그동안 접수한 국정화 반대 시민 서명과 의견서를 제출키로 했다.

확정고시 이후에는 집필거부운동, 대안교과서 제작운동, 반대서명운동을 이어가고, 교육부 고시로 국정화를 정할 수 있게 한 관련법령에 대한 헌법소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유은혜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교육부가 국정화 홍보를 위해 페이스북에 올린 웹툰에 대해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학생을 모욕하고 있다"고 즉각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주류, 비주류를 막론하고 국정화 문제에 '올인'하는 모습으로 비칠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는 만큼 출구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때 대국민 여론에서 우세했지만 여야 간 진흙탕 정치공방으로 번지는 바람에 정치 혐오증을 키우면서 야당마저 외면받은 전철을 되풀이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비주류 문병호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적절한 시점에 출구를 찾아 다시 경제이슈로 옮아가야 한다"고 말했고, 최원식 의원도 "교과서를 장기적으로 다루되 이제는 민생국회로 전환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가 이날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를 만나 3일 '원포인트' 국회 본회의를 개최하고 4일 원내대표·원내수석부대표 회동에서 정기국회 현안을 논의키로 합의한 것도 이런 기류를 반영했다는 시각이다.

주류 역시 생각이 크게 다르지 않다. 새정치연합이 그동안 교과서 문제와 민생을 동시에 챙기는 '투트랙' 전략을 이어왔지만 교과서에 치중한 모양새로 비친 측면이 있어 민생과 경제에 좀더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는 기류가 우세하다.

새정치연합은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화 고시 이후 대응책을 포함한 당내외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문 대표 측은 "문 대표 역시 오로지 교과서 문제를 갖고 총선까지 끌고가겠다는 생각은 아니다"며 "앞으로 민생 행보를 가속화, 교과서 문제와 민생 행보를 투트랙으로 가져가겠다는 생각"고 말했다.

문 대표도 이날 강경기조를 재확인하면서도 "이 문제가 계속 장기적으로 정치문제화되는 건 바람직하지않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이날 민생경제 관련 기자회견을 하는 방안도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확정고시 이후에 지금보다 더 심각한 반대운동이 있을텐데 시민사회와 정치권이 조화로운 연대활동을 해야할 것"이라며 "우리도 거기에 맞는 예산·입법 활동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