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당 주도세력 합류안한다” 심상정, 3일 진보정당 통합 선언

입력 2015-11-01 12:43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일 야권의 총·대선 연대문제와 관련, "야권이 책임있는 '연합정부' 비전을 국민에게 제시하고 인정받을 때 정권교체가 가능하다"며 '연합정치 2.0' 구상을 밝혔다.

심 대표는 이날 당대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지금의 보수정부보다 더 유능한 정부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느냐가 정권교체의 승부처"라며 "지금까지 (대선주자) 인물 중심의 메시아 찾기로는 정권교체를 이룰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런 국민의 뜻을 반영한 연합정치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며 "단지 이기기만을 위한, 내년 총선에서 금배지를 달기 위한 연대는 없다.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다는 비전, 전망 속에서 연합정치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내년 총선의 야권연대가 종전처럼 후보단일화 내지 지역구 나눠먹기 수준이 돼선 안되고 대선까지 겨냥한 '연합정부' 논의가 필요하다는 뜻이어서 야권 연대 내지 통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그는 "지금 박근혜 대통령이 물불 안가리고 밀어붙이는데 내년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압승한다면 헌법도 뜯어고칠지 모른다"며 "(야권) 후보단일화 방법론에만 주목하지 말고, 한국정치 근본변화를 위한 정의당의 노력에 주목해달라"고 강조했다.

심 대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문제와 관련, "세월호의 교훈을 새겨야 한다. 정치에 대한 염증을 불러일으켜 유권자들을 투표장에서 쫓아내는 것, 민생 대 국정화 저지 구도가 바로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전략"이라며 "여기에 말려들면 안된다"고 민생과 국정화 불복종운동의 '투트랙' 접근법을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교과서 저지를 위해 새정치연합, 정의당, 무소속 천정배 의원 간 꾸린 3자 연석회의에 대해서도 공조의 범위를 교과서 외에 선거제도개혁, 노동개악 저지 등 민생 분야로도 확대하는 '야권공조의 재구성'을 제안했다.

심 대표는 새로운 진보정당 창당을 위해 정의당과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 진보결집+(더하기) 등 4개 진보세력 간 통합 논의와 관련, "모든 쟁점이 해소됐다"며 "3일 공식 통합을 선언하고 빠르면 22일 통합전당대회를 마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의당의 가치와 노선에 동의하는 세력이라면 어느 정파를 막론하고 폭넓게 확대할 생각"이라며 "진보 대표정당, 정책제일 민생정당으로 발돋움해 내년 총선 때 원내 교섭단체를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총선 때 지역구의 절반 가량에 정의당 후보를 내겠다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옛 통합진보당 인사들의 합류 문제에 대해 "과거 통합진보당의 주도세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