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을 정치적 해법으로 종식하는 방안을 논의한 국제회의에서 유엔의 감시 아래 총선과 대선을 치르기로 합의했다.
다만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거취 등 핵심 쟁점과 관련해 주요국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러시아, 이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17개국 외무장관과 유엔, 유럽연합(EU)은 3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국제회담을 열고 시리아 내전을 종식하기 위해 조기 대선 실시 등에 합의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공동성명은 “참가자들은 주요 의제들을 솔직하고 건설적으로 협의했으며 상당한 이견이 있었다”면서 9개 항목에서 상호이해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참가국들은 2012년 6월 제네바 회담에서 채택한 공동성명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시리아의 새로운 헌법과 선거들을 통한 정치적 절차를 위해 유엔이 시리아 정부와 반군의 대표단과 회동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유엔의 감시 아래 국외 난민을 포함한 모든 시리아 유권자들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선거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에 합의했다.
이런 정치적 절차는 시리아가 주도하며 시리아 국민이 시리아 미래를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에도 뜻을 모았다.
참가국들은 유엔과 함께 새로운 정치적 절차를 이행하기 위해 전국적 휴전 등 협상 세부원칙을 논의하기로 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회담을 마치고 기자회견에서 휴전은 몇 달 안에 이행한다는 목표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공동성명은 또 시리아의 영토적 통합성과 세속주의 유지가 중요하며 민족과 종교 등과 무관하게 모든 시리아 국민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참가국들은 ‘이슬람국가’(IS)와 ‘다른 테러 조직’은 격퇴돼야 한다고 합의했다.
IS 외의 테러 조직은 유엔 안보리가 지정한 조직과 참가자들이 합의한 조직으로 규정함에 따라 알카에다의 시리아 지부인 알누스라전선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참가국들은 수일 동안 이견을 좁히고 합의 사항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장관들은 2주 안에 다시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란과 중국, 이집트, 프랑스, 독일, 이라크, 이탈리아, 요르단, 레바논,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영국 등도 참여했다.
앞서 러시아와 미국, 사우디, 터키 등 4개국 외무장관들은 지난 23일 빈에서 첫 회의를 열고 알아사드 거취 등을 논의했으며, 참가국을 추가하기로 했다.
지난 2011년 3월 반정부 시위로 촉발된 시리아 내전으로 지금까지 25만여명이 사망하고 100만여명이 부상했으며 인구의 절반이 국내외 난민이 됐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시리아 사태 국제회의, 유엔 감시 아래 선거 실시 합의
입력 2015-11-01 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