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6~18세) 10명 중 1명 이상이 비만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비만 청소년 3명 중 1명 정도는 비만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질병관리본부가 펴낸 ‘주간 건강과 질병’ 최근호의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 현황’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10%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2013)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6~11세 소아의 비만 유병률은 6.1%, 12∼18세 청소년의 유병률은 12.7%였다.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미국(6~11세 17.7%, 12~19세 20.5%)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2001년부터 13년 동안의 국내 비만 유병률은 오차 범위에서 크게 변하지 않고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질병관리본부는 분석했다.
비만 소아청소년 대부분은 자신이 비만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6~11세의 비만 인지율은 96%, 12~18세의 비만 인지율은 97.1%로 드러났다.
그러나 운동과 식사 등으로 체중 조절을 시도하는 경우는 6~11세 68%, 12~18세 73.2%에 그쳤다. 나머지 30% 정도는 체중 조절을 시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2~18세 여성 청소년은 비만 인지도가 100%에 달했고 체중 조절 시도 비율도 85.3%로 높게 나타났다.
소아청소년기 비만인 사람들은 심혈관계 이상 등 합병증에 걸릴 위험이 크다. 또한 성인기 비만으로 이행될 확률이 높으며 주요 만성질환에 걸릴 확률과 사망률도 높아진다.
질병관리본부는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 현황을 계속 지켜보면서 문제집단의 건강 행태나 수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지영 기자 acircle1217@kmib.co.kr
비만 청소년 3명중 1명은 비만 벗어날 노력 안한다
입력 2015-11-01 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