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만약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위해 비료나 식량 등 대북 지원이 필요할 경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물은 결과, 55%는 '지원해야 한다', 38%는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으며 6%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은 '필요하다면 대북 지원해야 한다'(48%)와 '그럴 필요 없다'(46%)로 팽팽히 갈렸으나,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은 지원론(68%)이 반대론(28%)을 크게 앞섰다. 무당층은 '지원' 52%, '반대' 39%였다.
작년 2월 이산가족상봉 행사 직후에는 '지원해야 한다' 60%, '그럴 필요 없다' 31%로, 올해 상봉 정례화를 위한 대북 지원 반대가 7%포인트 늘었다.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있을 때마다 북한에 생존한 국군 포로의 상봉을 요청했고 이번에도 납북자 가족을 포함한 명단을 통보했지만, 북한은 생사 확인이 어렵다는 이유로 거부했다. 그러나 6.25 때 납북된 故 조창호 소위가 1994년 탈북함으로써 억류된 국군 포로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고, 일각에서는 현재 북한에 약 500여 명이 생존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 포로에 대해 정부가 상당한 돈을 지불해서라도 데려와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물은 결과, 우리 국민 66%가 '데려와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며 24%는 '그럴 필요 없다'고 답했고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변화 없다' 46%, '전보다 커졌다' 30%, '전보다 줄었다' 17%로 우리 국민의 절반 가량은 변화 없다고 봤으나 나머지 절반은 변화 있다(47%)는 입장이었다. 특히 도발 가능성이 전보다 커졌다는 응답이 작년 2월 이산가족상봉 행사 직후보다 10%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저연령일수록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전보다 커졌다'는 응답이 많았다(20/30대 약 46%; 40대 26%; 50대 이상 약 18%).
실제로 북한은 협상과 도발을 반복하고 있고, 지난 8월 25~27일 조사에서 북한이 '8.25 합의 내용을 앞으로 잘 지킬 것'이라는 응답은 17%에 그쳤으며 69%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해 우리 국민 다수가 북한을 불신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27~29일(3일간)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조사대상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이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였다. 응답률은 19%(총 통화 5,239명 중 1,004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국민 55% “이산상봉 정례화 위해 대북 지원 필요”
입력 2015-10-31 0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