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산업생산이 4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2011년 3월 이후 54개월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와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 정책과 추석 연휴가 소비 회복을 이끌면서 생산과 투자 증가로 이어졌다.
통계청은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서 9월의 전체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2.4% 증가해 2011년 3월 4.0%였던 이후 4년 6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월별 산업생산은 지난 3월(-0.5%)부터 3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6월(0.6%)과 7월(0.5%), 8월(0.5%)에 이어 4개월째 늘었다. 9월에는 자동차·반도체 생산이 증가하면서 생산의 핵심인 광공업 생산도 선전했다.
반도체 생산도 갤럭시노트5 등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영향을 받아 17.2%, 자동차 생산은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5.0% 늘었다.
제조업 재고는 한 달 전보다 1.6% 늘었고 평균 가동률은 1.0%포인트 상승한 75.1%를 나타냈다.
특히 서비스업이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2.7%), 보건·사회복지(4.1%) 등이 늘어 1.2%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추석 연휴의 영향을 받아 음식료품, 화장품 등 비내구재(2.3%) 판매가 늘어 전달보다 0.5% 증가했다. 반면 의복 등 준내구재(-1.4%)와 가전제품 등 내구재(-1.0%) 판매는 줄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7포인트 올랐고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5포인트 상승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9월 전체 산업생산 2.4% 증가… 54개월만에 최대
입력 2015-10-30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