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내년 5월 초 노동당 제7차 대회를 연다.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열리는 첫 당 대회로,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 이후 36년 만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3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이 “주체혁명위업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위업 수행에서 세기적인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우리 당과 혁명발전의 요구를 반영해 조선 노동당 제7차 대회를 주체105(2016)년 5월 초에 소집할 것”을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당중앙위 정치국은 결정서에서 “오늘 우리 앞에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에 따라 우리 당을 김일성·김정일 동지의 당으로 강화 발전시키고 그 영도적 역할을 높여 주체혁명 위업의 최후 승리를 앞당겨나가야 할 혁명 임무가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당대회는 북한 노동당의 최고 지도기관으로, 소집 날짜는 대략 여섯 달 전에 발표된다.
북한은 지금까지 여섯 차례 당대회를 열었다. 당 규약에는 4년에 한 번씩 열기로 돼 있었으나 실제로는 불규칙했다. 가장 최근 당대회는 1980년 10월10일 열린 제6차 대회로, 당시 김정일의 후계자 지위 공식화, 사회주의 건설 10대 전망 목표 제시, 고려연방제 통일방안 제안 등을 주요 의제로 다뤘다. 북한은 1946년 8월 제1차 당대회를 열고 노동당 강령 및 규약을 채택했고, 2년 뒤 열린 제2차 당대회에서는 노동당 규약을 개정했다. 1956년 4월에 열린 제3차 당대회 의제는 신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1년 9월 제4차 때는 인민경제발전 7개년 계획 등이었다.
1970년 11월 제5차 당대회 때는 총비서(김일성) 및 비서, 정치위원 및 후보위원 선거, 당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 선출 등이 이뤄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북한, 36년만에 노동당 당대회... 왜?
입력 2015-10-30 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