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7~9월) 서울시내 반전세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연간 6.4%로, 지난해 같은 기간(7.2%)에 비해 0.8%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3분기 전월세전환율을 서울통계 홈페이지(stat.seoul.go.kr)와 서울부동산정보광장(land.seoul.go.kr)에 공개했다.
자치구별로는 종로구가 7.51%, 금천구가 7.45%, 용산구가 6.9%로 높게 나타났고 양천구(5.9%), 동대문구(6.0%), 구로구(6.1%) 등이 낮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도심권의 단독가구가 8.1%로 최고 수준을 보였고 동북권의 아파트가 5.92%로 최저수준이었다. 전세보증금별로는 보증금 1억원 이하가 7.4%로,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보다 약 1.7%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오피스텔, 원룸 등 주택유형이 아닌 주거용의 전월세전환율은 7.0%였다. 동북권이 7.3%로 최고였고, 동남권이 6.4%로 최저였다.
정유승 시 주택건축국장은 “월세 계약이 많아짐에 따라 전월세전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지만 그래도 시중 금리보다 높아 서민의 부담은 여전하다”며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실제 전월세 시장에 도움이 되도록 법개정을 계속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시 3분기 주택전월세전환율 6.4%로 하락세 뚜렷
입력 2015-10-29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