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교수 382명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우려하는 서울대 교수모임’ 소속 교수 12명은 28일 오전 11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여당은 근거 없고 무모하며 시대에 역행하는 위험한 역사 교과서 국정화 결정을 취소하고 교과서 제작의 자율성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교수들은 “정부와 여당이 검정을 통과해 일선 학교에 보급된 교과서에 대해 종북 좌편향이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를 내세웠다”며 “국정화 강행의 본질은 교과서 서술이나 역사학·역사교육의 문제가 아닌 집권층 일각의 정치적 고려가 앞선 무리수”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특정한 정치적 필요에 따라 선택된 단일한 해석을 ‘올바른’교과서 하나에 담아 국민의 생각을 획일화하는 시도가 참혹한 결과를 초래하고 폐해가 깊고 멀리 가는지는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와 북한을 비롯한 일당 전체주의에서 확인된 역사적 교훈”이라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국가와 사회의 미래는 학생들의 ‘생각하는 힘’에서 나온다”며 “역사는 단순히 사실 나열의 창고가 아니며 다양한 관점이 서로 어울리고 부딪히며 깊은 성찰의 의미를 배우고 경험하는 장”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대로 국정제를 시행한다면 역사 교육은 의미를 잃게 되고 학문과 교육이 정치의 희생양이 돼 헌법이 보장한 자율성·전문성·중립성을 침해당하게 된다”고 호소했다.
교수들은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자랑스러운 역사를 배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 발언에 대해 “역사학의 존재 이유는 자랑스러운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아픈 과거도 기억해 우리가 미래를 보다 풍요롭게 만드는 자기성찰의 재료로 쓰기 위함”이라고 반박했다.
또 “검정교과서가 대한민국을 부정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역사교육과 유용태 교수는 “기자회견을 하기 전에 한국사 교과서를 다시 꺼내 읽어봤지만 검정교과서에 대한민국을 폄훼하고 부정하는 내용은 없었다”고 말하며 직접 가져온 검정교과서를 꺼내 보여주기도 했다.
이날 역사교육과 유용태 교수와 국사학과 허수 교수가 공동으로 낭독한 성명서에는 서울대 교수 372명과 명예교수 10명이 함께 이름을 올렸다. 명예교수들 중 일부는 연락을 받기 전에 먼저 성명에 동참하겠다고 연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명 발표는 국정 교과서 문제가 정치화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 교수들이 발기인을 꾸리고 성명서 초안을 마련하며 시작됐다. 이들은 2000여명에 달하는 교수들에게 일일이 메일을 보낸 뒤 참가 의사를 밝힌 교수들을 모아 명단을 작성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다른 생각을 억누르는 나라에는 미래가 없습니다” 서울대 교수들 국정화 반대 성명 발표
입력 2015-10-28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