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납품비리와 관련해 전 직원과 협력사 대표 등 9명이 구속됐다.
울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최호영)는 협력업체들과 짜고 납품대금 등을 챙긴 혐의로 현대중공업그룹 전 직원 4명과 협력업체 대표 2명, 대학교수를 포함한 브로커 3명 등 모두 9명을 구속기소했다고 27일 밝혔다. 또 다른 협력업체 대표 3명은 불구속 기소했다.
현대중공업그룹 직원들은 2007~2014년까지 협력업체에서 자재를 납품하지 않았는데도 납품한 것처럼 서류를 작성해 45억원을 편취한 혐의다.
대학교수 등 브로커 3명은 올 4월 허위로 자재를 납품한 사건과 관련해 협력업체 대표로부터 사건을 무마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1억1000만원을 받고 형사 합의 등을 부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현대중 전 차장 A씨(52)는 2010년 1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납품대금 13억5000만원을 편취하고, 같은 회사 전 생산부서 과장급 기원 B씨(53)는 2011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3개 협력업체로부터 납품비리를 묵인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1억4000만원을 챙겼다.
협력업체 대표 C씨(44)는 2007년부터 올 3월까지 현대중그룹 계열사 직원 2명과 공모해 같은 방법으로 29억원을 편취했다.
대학교수 D씨(49)는 올 4월 C씨로부터 검찰 고발을 막아달라는 청탁에 1억1000만원을 챙기고 현대중그룹 임원들에게 형사 합의 등을 부탁한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이번 수사에서 전형적인 갑질 횡포도 발견했다. 한 자재 담당 직원은 협력업체 대표와 직원에게 ‘오늘 결제라고 월화수목요일은 머하고 월초에는 신경써야지’, ‘밥사먹을 돈도 없어서 기다릴게’ 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등 노골적으로 금품 요구하기도 했다. 또 일부 직원은 5만원권 1억2500만원을 집에 보관했고, 가족들 명의 계좌에 현금으로 6억여원을 입금해 보관했다.
검찰 관계자는 “회사 측은 17억원 상당의 피해액을 변제받았고 현재도 피해 회복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내부 감사를 통해 납품비리를 확인하고 지난 7월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면서 “해당직원은 해고조치하고 해당업체는 등록을 취소한 상태”라고 전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회사는 벼랑끝인데…현대중공업 직원들 허위 납품서류로 45억 꿀꺽
입력 2015-10-27 16:46